반기문 총장, 남수단 방문 ‘007 작전’… 평화협상 극적 성사

입력 2014-05-08 10: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비밀리에 방문… 정부·반정부군간 회담 참석 확답 받아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남수단 내전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찾았다. 사진은 지난해 12월 반 총장이 뉴욕 유엔본부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후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AP뉴시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5개월째 이어지는 남수단의 내전을 종식시킬 실마리를 마련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 기후변화 장관 회의’ 참석차 아랍에미리트(UAE)를 방문한 반 총장은 6일(현지시간) ‘007작전’을 방불케하는 비밀 작전을 통해 소수의 경호원과 보좌관을 이끌고 내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남수단을 방문했다.

반 총장이 위험을 무릅쓰고 비밀리에 남수단을 방문한 것은 정부군과 반정부군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남수단 사태를 그대로 뒀다가는 1994년에 일어난 ‘르완다 학살’에 버금가는 대량학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남수단에 도착한 반 총장이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자신의 제안으로 ‘오픈 게이트 폴리시’가 처음 적용된 유엔사무소(UNMISS) 관내 난민 수용소였다. 오픈 게이트 폴리시는 특정 지역 사람들이 분쟁이나 학살 위험에 처했을 때 현지 유엔사무소의 책임자가 자신의 직권으로 난민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고 보호한다는 정책이다.

반 총장은 난민 수용소 방문 후 곧바로 살바 키르 남수단 대통령을 만나 “내전이나 대량학살을 피하려면 반정부 지도자 리크 마차르 전 부통령과 만나 대화로 사태를 풀어야 한다”고 설득했다. 반 총장과의 회담 후 키르 대통령은 오는 9일 에티오피아에서 반군 지도자 마차르 전 부통령을 만나겠다고 밝혔다.

지난 1월 남수단 정부와 반정부군은 휴전에 합의했으나 교전이 지속되면서 합의가 사실상 휴지조각이 됐다. 이 때문에 반 총장은 정부 측의 대화 의지 표명이라는 상당한 수확을 거뒀으나 반군지도자가 협상 테이블에 나서지 않는다면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고 판단해 반군 지도자와의 접촉을 시도했다.

소재조차 파악되지 않는 마차르 전 부통령과 가까스로 전화통화에 성공한 반 총장은 오는 9일 에티오피아에서 열리는 평화회담에 참석하겠다는 확답을 받아내는 데 성공했다.

한편 남수단에서는 지난해 12월 최대 부족인 딘카족과 두 번째로 큰 누에르족의 충돌로 촉발돼 5개월째 내전이 이어지고 있다. 키르 대통령은 딘카족 출신이고 반군을 이끄는 마차르 전 부통령은 누에르족 출신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585,000
    • -0.51%
    • 이더리움
    • 4,756,000
    • -1.12%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2.26%
    • 리플
    • 669
    • -0.15%
    • 솔라나
    • 199,300
    • -2.02%
    • 에이다
    • 554
    • +2.4%
    • 이오스
    • 816
    • -0.49%
    • 트론
    • 175
    • +2.34%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00
    • -2.18%
    • 체인링크
    • 19,480
    • -2.26%
    • 샌드박스
    • 474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