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양적완화 축소 결정...국제 금융정책 패러다임 변할까

입력 2013-12-19 09: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양적완화 축소

▲사진 = 뉴시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18일(현지시간)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키로 결정하면서 글로벌 금융정책의 패러다임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미국의 '양적완화'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초래한 리먼브러더스 파산 사태 이후 내놓은 일종의 긴급 처방이었다. 이후 경기 회복이 더뎌지면서 연준은 2010년 11월에 추가로 양적완화 조치를 발표했다.

1,2차 양적완화가 실물경기 회복에 크게 도움이 안되고 금융시장을 왜곡시키는 ‘무분별한 돈 찍어내기’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그럼에도 연준은 미국의 고용시장 불안과 유럽 재정위기 등 악재가 겹치면서 지난해 9월에 3차 양적완화를 발표했다.

이후 올 초부터 부동산시장을 중심으로 미국 경제의 회복 징후가 가시화하면서 연준 내부에서는 출구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결국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자신의 임기를 한달여 앞두고 18일 열린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결정했다.

미국 중앙은행의 자산 매입 프로그램은 장기금리와 기축통화인 달러화 가치, 수출입물가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 각국의 경제ㆍ통상 정책과 금융시장, 실물경제 등에도 파장이 불가피하다. 연준의 테이퍼링 결정으로 글로벌 통화정책의 패러다임이 변화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실제로 다음달부터 연준이 자산매입 규모를 100억달러 축소하면 시장에 유입되는 자금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고, 이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 등 신흥경제국 주식시장에 흘러드는 자금이 급격히 줄어들면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또 환율 변동으로 인해 각국의 수출 경쟁력에도 영향이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각국이 연준의 테이퍼링과 경기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금융정책을 조절할 것으로 보고 있다. 18일 FOMC 이후 한국은행은 19일(한국시간) 오전 박원식 부총재 주재로 통화금융대책반회의를 열고 양적완화 축소 결정이 국내외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한은이 취해야 할 방안을 논의했다. 박 부총재는 "양적완화 축소로 향후 금융시장 전개상황의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앞으로 상당한 경계감을 갖고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필요시 정부와도 긴밀히 협의해 적절한 시장안정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잇따른 '협회' 논란에 빛바랜 메달…"양궁처럼 안 되겠니?" [이슈크래커]
  • 밈코인의 시간 끝났나…도지ㆍ시바이누 등 1년 동안 N% 하락
  • 0-0 팔레스타인전 졸전…홍명보 야유에 이강인 "100% 믿어, 안타깝다"
  • 7월 경상수지, 91억3000만 달러 흑자…동기간 기준 9년來 최대
  • 제니 측 "아버지 사칭 불법 출판물, 명백한 허위 사실…법적 대응 중"
  • '쯔양 공갈' 구제역, 첫 재판서 모든 혐의 부인…국민참여재판 신청했다
  • 대출 조이니 전셋값 급등…전세가율 높은 지역 분양 단지 관심↑
  • 이복현 "더 쎈 개입"에 "은행 자율 관리"로 정리한 김병환
  • 오늘의 상승종목

  • 09.0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4,428,000
    • -3.91%
    • 이더리움
    • 3,156,000
    • -3.1%
    • 비트코인 캐시
    • 411,600
    • -2.26%
    • 리플
    • 718
    • -4.39%
    • 솔라나
    • 174,900
    • -3.69%
    • 에이다
    • 429
    • -5.3%
    • 이오스
    • 619
    • -2.83%
    • 트론
    • 202
    • -0.98%
    • 스텔라루멘
    • 120
    • -2.4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150
    • -3.78%
    • 체인링크
    • 13,170
    • -4.43%
    • 샌드박스
    • 326
    • -2.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