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氣 살리자]5대 악재에 ‘혹독한 빙하기’ 우려가 현실로

입력 2013-06-17 13: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 금융 불안·경기침체 장기화·저금리 저성장· 각종 규제 강화·자산건전성 악화

연초 ‘금융빙하기’를 예상했던 금융권의 우려가 현실화됐다.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지속, 국내 경기침체 장기화, 저금리·저성장에 금융규제 강화까지. 여기에 가계와 기업 부실화로 인한 자산 건전성 악화 등 5대 악재에 금융권이 단단히 발목을 잡혔다.

국책·민간경제연구소는 물론 최근에는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까지 나서 국내 시중은행들의 수익성 하락과 신용도 악화를 경고했다.

연초 신년사에서 “금융산업의 빙하기라고 할 만큼 위기상황에 직면했다”는 이팔성 전 우리금융 회장의 예상처럼 국내 금융산업은 전에 없는 혹한의 빙하기를 맞고 있다.

◇ 5대 악재 진행형…금융권 신음 = 최근 국내 은행의 구조적 문제를 진단한 S&P 보고서는 국내 금융산업이 처한 현실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S&P는 지난 10일 한국 은행들이 구조적 문제로 인해 중장기적 수익성 악화와 신용도 압박을 겪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S&P는 저금리 기조가 영업이익의 절대치를 차지하는 순이자마진(NIM)을 향후 최소 2~3년간 압박할 것으로 분석하고, 심각한 가계부채 문제, 부동산시장 침체, 해운·조선업 불황 등도 은행권의 위협 요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S&P는 각종 규제 강화로 인해 한국의 은행들이 금리 이외의 수입을 늘리거나 비용 효율성을 개선하려는 노력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국내 금융산업은 대내외 악재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다. 이는 오랜 세월 지속돼 온 철저한 내수 위주의 ‘천수답 경영’에서 비롯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국내 금융권은 그동안 해외진출과 글로벌화를 추진했지만 성과는 아직 미미하다. 단적으로 국내 은행들의 해외 수익 비중은 전체의 5%에 불과하다. 세계경제포럼(WEF)의 2012년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 금융시장의 성숙도는 144개국 중 71위에 그쳤다. 한 해 수익의 절반 이상을 해외시장에서 벌어들이는 글로벌 금융회사와 현격한 격차를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금융회사의 실적 악화는 이미 1분기 실적에서 확인됐다. 저금리·저성장 수렁에 빠져 NIM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전반적 수익 저하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우리 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7.8% 급감했다. 신한금융, KB금융, 하나금융 등 4대 금융지주사 모두 수익성이 훼손됐다.

금융 규제를 강화하며 금융권을 옥죄고 있는 금융감독당국도 금융사의 수익성 및 건전성 악화를 우려하고 나설 정도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임원회의에서 “최근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저금리·저성장 기조가 지속돼 은행·보험 등 금융회사의 수익성 및 건전성 약화가 우려된다”면서 “건전성 악화가 우려되는 금융회사를 중심으로 선제적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동시에 비합리적 금융규제 전반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CEO 교체로 업무공백 불가피 = 위기극복에 전력을 기울일 상황이지만 금융권은 아직 여력이 없어 보인다.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최고경영자(CEO) 교체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CEO 교체 후폭풍을 피한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은 그나마 사정이 낫다. 우리금융, KB금융, NH농협금융, KDB산은그룹 등 주요 금융사들의 최근 수장이 교체되면서 조직 정비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CEO 물갈이의 격랑 속에서 올해 혹한의 빙하기를 예고했던 이팔성 전 우리금융 회장이나 강만수 산은지주 회장도 중도 사퇴했다. 어윤대 KB금융 회장도 내달 12일이면 KB금융을 떠나야 한다.

이에 따라 이들 금융사의 경우 연초 신년사를 통해 밝힌 주요 사업계획 및 경영전략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신임 회장이 취임하면서 전임 회장이 중점적으로 추진했거나 추진하려던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기존 추진 사업 역시 추진되기는 어려운 상황이 됐다. 사실상 모든 업무가 올스톱된 상태다. 여기에 일부 금융지주 회장 내정을 둘러싸고 불거진 ‘관치금융’, ‘낙하산 인사’논란으로 노조까지 반발하고 나서면서 자칫 업무 공백의 장기화도 우려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감독당국의 규제 강화 일변도의 정책 방향도 금융권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권 교체와 맞물려 반복되는 CEO 교체 리스크, 경제민주화를 화두로 한 전방위적 금융권 압박, 각종 규제 강화가 금융산업의 운신의 폭을 조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현재 금융사들은 악재의 종합선물세트와도 같은 상황에 직면해 있다”면서 “경영진 교체 등으로 인해 체제를 정비하고, 본격적 수익 만회에 나서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생일 축하해” 루이바오·후이바오의 판생 1년 [해시태그]
  • '풋살'도 '요리'도 재밌다면 일단 도전…Z세대는 '취미 전성시대' [Z탐사대]
  • "포카 사면 화장품 덤으로 준대"…오픈런까지 부르는 '변우석 활용법' [솔드아웃]
  • 단독 삼정KPMG·김앤장, 금융투자협회 책무구조도 표준안 우협 선정
  • 4인 가구 월 가스요금 3770원 오른다…8월부터 적용
  • 주말 내내 ‘장맛비’ 쏟아진다…“습도 더해져 찜통더위”
  • 코스피, 삼성전자 깜짝 실적에 2860선 마감…연중 최고
  • 고꾸라진 비트코인, '공포·탐욕 지수' 1년 6개월만 최저치…겹악재 지속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7.0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240,000
    • +2.16%
    • 이더리움
    • 4,349,000
    • +2.31%
    • 비트코인 캐시
    • 483,200
    • +4%
    • 리플
    • 635
    • +4.79%
    • 솔라나
    • 201,800
    • +5.16%
    • 에이다
    • 527
    • +4.77%
    • 이오스
    • 741
    • +7.86%
    • 트론
    • 184
    • +1.66%
    • 스텔라루멘
    • 128
    • +5.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050
    • +5.36%
    • 체인링크
    • 18,580
    • +5.51%
    • 샌드박스
    • 432
    • +7.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