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사회 불안 요소는 '공해'

입력 2013-03-07 16: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해로 매년 3만~5만건 시위 발생

▲중국에서 공해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이 날로 커지고 있다. 베이징 톈안먼광장에서 한 여성이 마스크로 얼굴을 가린 채 자전거를 타고 있다. 블룸버그

시진핑의 중국호의 가장 큰 걸림돌은 공해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에서 발생하는 시위 원인이 과거의 지방정부 토지 강제수용 등에 따른 분쟁에서 공해로 옮겨가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공산당 중앙정법위원을 역임했으며 사회문제 전문가인 천지핑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위원은 전날 “중국에서는 현재 연 3만~5만건의 시위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대규모 시위의 주요 원인은 환경으로 현재 중국 주민 모두가 이를 신경 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만일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공장이 사는 곳 옆에 지어진다면 사람들이 잠잠히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중국은 이번 겨울 베이징 등 중부와 동부 지역에 극심한 스모그가 이어지면서 공해에 대한 주민들의 불만이 극에 달한 상태라고 통신은 전했다.

전날 베이징 톈안먼광장의 2.5㎛ 초미세먼지(PM 2.5) 농도는 234㎍/㎥에 달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PM2.5 기준치는 25㎍/㎥이다.

지난해 중국 곳곳에서는 환경오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공장이 들어서는 것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시위가 잇따랐다.

닝보에서 지난해 10월에 주민 수천 명이 석유화학공장 증설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공안과 충돌해 계획이 백지화됐다.

여름에는 장쑤성 치둥에서 수만 명의 시위로 폐수배출관 건설이 무산됐다.

환경운동가인 마쥔은 “주민들은 이제 환경과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젝트 결정 과정이 투명하게 진행되는 것은 물론 직접 참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지방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목표를 세워놓고 이를 위해 공해를 유발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달 개막한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정협·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도 환경이 주요 아젠다로 논의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는 지난 5일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개막식 정부 업무보고에서 “우리는 경제발전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반드시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이 몰랐던 '미쉐린 별점'의 그늘(?) [이슈크래커]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자사주 취득·소각 길 열린 고려아연…영풍 또 가처분 신청
  • 단독 예산 수십억 들였는데 참여 기업은 3곳뿐…'AI 신뢰 인증제'
  • 尹, 쌍특검법·지역화폐법 재의 요구...24번째 거부권[종합]
  • '흑백요리사' 최현석, 비장의 무기 꺼냈다…시청자들 뒤집힌 이유는?
  • “축구협회, 홍명보 감독 선임하며 내부규정 안 지켜”
  • 단독 교육부, 전국 의대에 "동맹휴학 안 된다" 공문…서울대 의대 휴학 승인 ‘논란’
  • 오늘의 상승종목

  • 10.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423,000
    • +0.27%
    • 이더리움
    • 3,274,000
    • -0.94%
    • 비트코인 캐시
    • 427,500
    • +0.97%
    • 리플
    • 782
    • -0.76%
    • 솔라나
    • 195,000
    • +0.31%
    • 에이다
    • 468
    • +0.21%
    • 이오스
    • 637
    • -0.31%
    • 트론
    • 208
    • +0.48%
    • 스텔라루멘
    • 125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750
    • +1.84%
    • 체인링크
    • 14,470
    • -1.63%
    • 샌드박스
    • 332
    • +0.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