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 65% “오바마 부자증세 지지”…수세 몰리는 공화당

입력 2012-12-14 09:21 수정 2012-12-14 14: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블룸버그 조사, 64% “사회복지혜택 축소 반대”

미국의 재정절벽 협상이 난항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 절반 이상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자체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부자 증세안을 지지했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은 오바마가 지난 11ㆍ6 대선에서 승리한 것은 연소득 25만달러 이상 부유층의 세금을 올리라는 권한을 (국민으로부터) 부여받은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적자 감축을 위해 사회복지혜택을 대폭 축소하는 안건을 오바마 대통령이 막을 권한이 있다는 응답자는 64%를 차지했다.

응답자의 62%는 수혜연령 상향 등 메디케어(노인의료보장) 제도의 근본적인 개편에 대해서도 오바마 대통령이 저지할 책임이 있다고 봤다.

이번 조사는 지난 7∼10일에 이뤄졌으며 오차범위는 ±3.1%포인트다.

NBC 방송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실시한 공동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6%가 부유층 증세안을 수용할 수 있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오바마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줌과 동시에 부자 증세안에 반대하고 있는 공화당을 압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의회는 자동적인 정부지출 삭감과 세금 인상으로 경제를 위기에 빠뜨릴 재정절벽을 3주도 채 남겨 두지 않고 있는 가운데 공방을 거듭하며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을 비롯한 민주당은 부유층 증세를 통해 세수를 늘리자고 주장하는 반면 공화당은 사회보장 혜택을 축소해 적자를 줄이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ABC 방송과 워싱턴포스트(WP)가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베이너 의장의 협상 자세에 대해 응답자의 54%가 반대(찬성 24%)했으며 오바마에 대해선 47%가 찬성(반대 46%)했다.

앤 셀저 여론조사 전문가는 “오바마가 재선에 성공해 국민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고 높은 업무 지지도를 보이면서 재정절벽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과 베이너 하원의장은 지난 9일 단독회동에 이어 이날 오후 5시 재정절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구영배 큐텐 대표 “정산금 지급 시점, 얘기하기 힘들다” [티메프發 쇼크]
  • 임종훈-신유빈, 탁구 혼합복식 동메달…12년 만의 쾌거[파리올림픽]
  • 최연소·100호 금메달리스트 나왔다…한국 선수들의 '48년' 금빛 발자취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구속...법원 "도주 우려"
  • 국내 여름 휴가 여행지 1위는 제주 아닌 '여기' [데이터클립]
  • '10만' 래미안 원펜타스'ㆍ'11만' 호반써밋 목동…서울 '로또 청약'에 수요자 우르르
  • 파리올림픽도 금금금…우리나라는 왜 양궁을 잘할까? [해시태그]
  • [가보니] 빗썸 라운지 강남점 오픈 첫날 300명 방문…NH농협은행 창구 개설
  • 오늘의 상승종목

  • 07.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667,000
    • -2.16%
    • 이더리움
    • 4,645,000
    • +0.96%
    • 비트코인 캐시
    • 609,500
    • -2.17%
    • 리플
    • 864
    • +3.85%
    • 솔라나
    • 253,800
    • -2.23%
    • 에이다
    • 563
    • -0.88%
    • 이오스
    • 816
    • +1.49%
    • 트론
    • 188
    • -0.53%
    • 스텔라루멘
    • 142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73,150
    • -0.27%
    • 체인링크
    • 19,020
    • +0.9%
    • 샌드박스
    • 468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