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세븐 지역 아파트 시총 하락

입력 2012-12-11 17: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44%→33%…강남3구 영향력도 약화돼

서울과 경기도 아파트 시가총액의 43%까지 장악했던 버블세븐의 시가총액 비중이 33%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가 서울·경기 아파트(주상복합 포함) 303만4279가구를 대상으로 버블세븐이 지정됐던 2006년 5월과 2012년 12월 현재 수도권 전체 시가총액에서 버블세븐이 차지하는 비중을 분석한 결과 43%에서 10%포인트 하락한 33%로 나타났다.

지난 2006년 5월 노무현 정부시절 집값 급등으로 가격에 거품이 끼었다며 각종 규제를 받았던 이른바 버블세븐(강남·서초·송파·목동·분당·평촌·용인)지역은 서울·경기 아파트 시가총액의 43%를 차지하며 수도권 아파트 시장을 장악했다.

그러나 고가의 중대형 아파트 밀집 지역인 버블세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매수 심리 위축으로 주택 수요가 크게 줄면서 가격 조정폭이 크게 나타나며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올해 현재 버블세븐 시가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33%에 그치며 버블세븐의 장악력은 크게 약화된 모습이다.

수도권 집값을 이끌던 강남3구의 영향력도 하락했다.

강남 시가총액은 2006년 5월 97조7839억원으로 서울·경기 전체시가총액에서 11%를 차지했다. 송파·서초도 각각 9%, 7% 차지하며 버블세븐에서 강남3구의 영향력이 컸다.

하지만 버블세븐이 지정된 이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가 연이어 발생했고 국내 부동산 시장도 전반적인 경기침체와 금융불안으로 주택시장이 얼어붙었다.

또한 재건축 시장의 소형주택 비율확대, 용적률·종상향 보류 등 영향까지 더해지면서 강남3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강남 8%, 송파·서초 6%로 수준으로 줄었다.

분당은 2006년 서울·경기 전체 시가총액에서 6%를 차지했었지만 현재 4%를 차지하는데 그쳤고 목동과 평촌은 각각 2%에서 1%로 떨어졌다.

2000년대 초중반 아파트 가격 상승의 진앙지였던 버블세븐은 주택 매매수요가 급감하고 시세 상승에 대한 기대가 반감되면서 현재는 버블세븐의 의미가 무색해지고 있다.

앞으로도 버블세븐의 영향력 회복은 힘들 전망이다.

박정욱 부동산써브 부동산연구팀 선임 연구원은 “앞으로도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불투명한데다 버블세븐 아파트 시장을 견인할 이렇다 할 모멘텀이 없는 실정이어서 수도권 버블세븐의 영향력 회복은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흑백요리사' 패자부활전 주제는 '편의점' 재료…추가 생존자 '3명' 주인공은?
  • “나야, 모기” 짧은 가을 점령…곧바로 극한 한파 온다 [해시태그]
  • "요즘 골프 안 쳐요"...직장인에게 가장 인기 있는 운동은? [데이터클립]
  • 미국 동부 항만노조, 47년 만에 파업 돌입
  • [종합]저축은행 부동산PF 구조조정 본격화…적기시정조치 이달 논의
  • 단독 추천 포즈도 알려준다… 진화하는 삼성 갤럭시 AI 카메라
  • 태풍 ‘끄라톤’ 한반도 비껴간다…가을비에 기온 ‘뚝’
  • 이스라엘 “헤즈볼라에 제한적 지상전 개시”…18년 만에 다시 국경 넘어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631,000
    • -1.38%
    • 이더리움
    • 3,337,000
    • -2.48%
    • 비트코인 캐시
    • 428,500
    • -4.82%
    • 리플
    • 812
    • -1.34%
    • 솔라나
    • 196,200
    • -3.73%
    • 에이다
    • 474
    • -5.58%
    • 이오스
    • 645
    • -7.33%
    • 트론
    • 206
    • +0%
    • 스텔라루멘
    • 126
    • -4.5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800
    • -6.68%
    • 체인링크
    • 14,840
    • -6.02%
    • 샌드박스
    • 334
    • -7.9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