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부채, 위험 단계 넘어섰다

입력 2012-08-07 06:11 수정 2012-08-07 07: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도미노 부도' 우려…작년 1분기 기업부채, 107% 달해

국내 기업들의 급격한 부채 증가로 대규모 부도ㆍ파산 위험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가계부채 또한 경제 성장을 위협할 요인으로 지목됐다.

7일 금융권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 부채는 2011년 1분기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07%에 달해 위험 단계를 넘어섰다.

일반적으로 GDP 대비 부채 수준이 기업은 90%, 가계는 85%, 정부는 85%를 초과하면 GDP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 GDP 대비 기업 부채는 외환위기 충격이 확산한 2000년에 93%까지 올라갔으나 2004년 78%로 낮아졌다. 그러나 2008년에 금융위기가 닥치면서 107%로 다시 치솟았고 이후 2009년 110%, 2010년 104% 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부터 기업들이 막대한 빚 상환에 시달리고 있다는 뜻으로 수출이 급감한 올해는 기업부채가 GDP 대비 110%를 돌파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보험연구원은 "부채가 일정 수준을 넘으면 가계와 기업, 정부 부담으로 작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위기를 유발하기도 한다"면서 "우리나라 기업 부채 수준은 이미 임계치를 초과한 상태다"고 경고했다.

가계 부채 또한 위기 단계로 접어들었다. 2001년 1분기 기준 GDP 대비 가계 부채는 81%로 위기 단계로 접어드는 85% 수준에 빠른 속도로 접근하고 있다.

가계 부채는 2000년 GDP 대비 48%, 2004년 66%, 2008년 78%, 2009년 81%, 2010년 80%로 증가 추세를 보인다.

보험연구원은 이에 대해 우리나라는 가계 부채 수준이 매우 빠르게 높아져 관리가 필요하지만 가계부채는 총량을 무리하게 축소하기보다는 GDP 대비 부채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대신 가계와 기업, 정부 부채를 모든 합친 총부채는 GDP 대비 221%로 OECD 국가 중 독일(192%)을 제외하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급속한 고령화로 재정 부담이 악화할 수 있어 안심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굿파트너' 시청률 막 터졌는데…파리 올림픽에 직격탄 맞은 방송가 [이슈크래커]
  • "돈 없어 해외여행 간다"…'바가지 숙박요금'에 국내 여행 꺼려 [데이터클립]
  • '양주 태권도장 학대' 5세 남아 끝내 사망…의식불명 11일 만
  • 구제역·전국진 구속될까…'쯔양 공갈 협박 혐의' 영장실질심사 25~26일 예정
  • 북한, 또 대남 오물풍선 살포…경기 북부로 "낙하 주의"
  • 무속인과 논의 후 뉴진스 강탈 보도…민희진 측 "불법 행위 법적 대응"
  • ‘가계부채 체질개선’ 나선 당국, 금리 따라 울고 웃는 차주 구할까 [고정금리를 키워라上]
  • 2금융권 부실채권 ‘눈덩이’…1년새 80% 증가
  • 오늘의 상승종목

  • 07.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01,000
    • -1.12%
    • 이더리움
    • 4,809,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515,000
    • -2.28%
    • 리플
    • 837
    • +0%
    • 솔라나
    • 242,800
    • -0.7%
    • 에이다
    • 572
    • -2.22%
    • 이오스
    • 826
    • +2.61%
    • 트론
    • 188
    • +2.17%
    • 스텔라루멘
    • 142
    • -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150
    • -1.04%
    • 체인링크
    • 19,180
    • -0.26%
    • 샌드박스
    • 448
    • -0.8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