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자들 이제 헤지펀드 투자한다…자본시장 개방 가속화

입력 2012-07-11 09:2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외 헤지펀드 투자 가능한 ‘QDLP’ 도입 검토

▲중국 정부가 해외 헤지펀드들이 중국에서 자금을 모집해 해외에서 투자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상하이 푸동의 루지아주이 금융지구. 블룸버그

중국이 헤지펀드업계의 진입을 허용하는 등 자본시장 개방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헤지펀드들이 중국에서 자금을 모집해 해외에 투자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현재 중국은 해외 헤지펀드들이 중국 이외 지역에서 자금을 조달해 중국 본토 사모펀드에 직접 투자할 수 있는 적격외국인유한파트너(QFLP)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새로 시행되는 제도는 ‘적격국내유한파트너(QDLP)’로 불리며 QFLP와 대응되는 개념인 셈이다.

사정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운용자산이 최소 100억달러(약 11조4200억원) 이상인 해외 대형 헤지펀드가 초기 QDLP 자격을 신청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QDLP를 얻고자 하는 헤지펀드는 상하이에 등재돼 있어야 한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투자은행 노스스퀘어블루오크의 로렌스 핀토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QDLP 도입을 발표하기 전부터 헤지펀드들이 자격을 신청하려고 줄을 서고 있다”고 말했다.

QDLP의 도입은 중국의 자본시장 자유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FT는 분석했다.

중국 투자자들은 현재 투자처가 매우 제한돼 있다.

글로벌 경기불안에 중국증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투자자들은 마땅히 다른 투자대상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회사채 시장은 발전 초기 단계며 해외투자 개방폭도 여전히 좁다.

그 결과 부자들의 자금이 지난 10년간 몰린 부동산시장은 거품 붕괴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헤지펀드업계의 진입으로 중국 부자들이 해외에 투자할 수 있는 새 길이 열리게 되는 셈이다.

현지 기관투자자들도 해외 헤지펀드의 다양한 투자수단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국 정부가 QDLP도 신중하게 진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QDLP는 초기에 투자쿼터가 연 50억달러로 제한될 전망이다.

이는 천문학적인 돈이 오가는 글로벌 헤지펀드시장에서는 미미한 규모라고 FT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월 60만 원 더 번다"…직장인들 난리 난 이 부업 [데이터클립]
  • "여전히 뜨거운 파리, 12일간의 열전…패럴림픽 제대로 알고 보세요" [이슈크래커]
  • “4만원 중 1만원 떼여”…배달주문 끊고 차등가격 등 자구책 찾는 자영업자들(르포)[씁쓸한 배달왕국]
  • 단독 LG디스플레이, 경영 악화 구조 조정에…“파주·구미 공장 1400명 퇴직 원한다”
  • 전국적으로 줄줄이 터지는 '싱크홀' 공포…어떤 보험으로 보상받나
  • 잘 나가는 제약·바이오기업 이유 있었네…R&D ‘통 큰 투자’
  • “끝없는 경기 불황” 서울 외식업종 폐업 코로나 때보다 더 늘었다
  • 포스트시즌 진출 변수인 '잔여 경기'…가장 유리한 구단은?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9.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9,167,000
    • -0.24%
    • 이더리움
    • 3,410,000
    • +1.07%
    • 비트코인 캐시
    • 434,600
    • +0.25%
    • 리플
    • 753
    • -0.92%
    • 솔라나
    • 178,200
    • -0.61%
    • 에이다
    • 449
    • -3.44%
    • 이오스
    • 638
    • +0%
    • 트론
    • 212
    • -0.93%
    • 스텔라루멘
    • 125
    • +1.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700
    • -0.54%
    • 체인링크
    • 14,520
    • -0.75%
    • 샌드박스
    • 331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