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규제, 지방은 무풍지대

입력 2012-03-14 10:15 수정 2012-03-14 10: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당국의 규제가 느슨함을 틈타 지방의 가계대출이 폭등했다. 비수도권의 가계대출이 2년 새 20% 이상 늘어 수도권 증가율의 두 배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최근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세부내역 자료를 요청해 지방의 가계대출 동향에 대해 점검하고 있다.

14일 한국은행의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자료를 보면 서울, 경기, 인천을 제외한 비수도권의 1월 가계대출 잔액은 227조1000억원이다. 이는 2010년 1월 187조원에 비해 21.4%나 늘어난 규모다.

더욱이 비수도권 가계대출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1월에서 다음 해 1월까지 9.7% 늘어난데 이어 2011년 1월부터 올 1월까지는 10.7% 늘어나 증가폭이 확대됐다.

반면 수도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지방을 크게 밑돌았다. 수도권의 1월 가계대출 잔액은 412조2000억원으로 2년 전에 비해 12.6% 늘어났다. 지난해 1월부터 올 1월까지는 5.5% 늘어나는데 그쳤다.

수도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주춤한 사이 지방은 급증한 것은 당국의 규제가 수도권 위주로 이뤄진 탓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6월 가계대출 연착륙 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지방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또 부산 해운대와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양상이 보이고 있는 것도 지방 가계대출 증가를 부채질 했다. 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주택 매매가격은 16.7% 올랐다. 서울(0.3%), 경기(1.3%) 지역의 15배에 달하는 규모다.

실제 부산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2010년 11.3%에서 2011년 13.0%로 확대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5.9%에서 4.8%로 축소됐다.

부산, 경남 등 지방의 부동산 열풍을 타고 가계대출도 크게 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는 부동산 경기가 꺾일 경우 과도하게 늘어난 부채와 자산가격 하락과의 격차가 커지면서 가구의 부실화가 우려되는 부분이다. 노무현 정부 시절 부동산 열풍이 가계대출을 크게 증가시킨 뒤 금융위기가 발생하면서 많은 가구가 부채난을 겪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 시장 안정과 연관시켜 지방 가계대출 동향에 대해 점검하는 차원일 뿐 아직 지방의 가계대출이 수도권에 비해 위험한 수준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34년 만에 빨간날 된 국군의날…임시공휴일 연차 사용법 [요즘, 이거]
  • '사면초가' 탈덕수용소…장원영·BTS 이어 '엑소 수호·에스파'도 고소
  • '자격정지 7년 최종 확정'에 남현희 측 "객관적 판단 이뤄지지 않아, 소송할 것"
  • "퇴근 후 연락하지 마세요" [데이터클립]
  • 주연 여배우는 어디에?…‘안녕 할부지’ 더 보고 싶은 푸바오 [해시태그]
  • 엔비디아 시총, ‘역대 최대’ 2789억 달러 증발…美 법무부 반독점 조사 본격화
  • "국민연금 보험료율 13%…어릴수록 천천히 올린다"
  • 은평구 아파트서 이웃에 일본도 휘둘렀던 당시 CCTV 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9.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7,067,000
    • -4.02%
    • 이더리움
    • 3,274,000
    • -3.99%
    • 비트코인 캐시
    • 421,100
    • -3.44%
    • 리플
    • 749
    • -3.35%
    • 솔라나
    • 175,700
    • -3.99%
    • 에이다
    • 434
    • -3.34%
    • 이오스
    • 617
    • -4.64%
    • 트론
    • 204
    • -0.97%
    • 스텔라루멘
    • 122
    • -3.9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950
    • +2.7%
    • 체인링크
    • 13,820
    • -4.82%
    • 샌드박스
    • 326
    • -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