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착륙 뇌관 터지나

입력 2012-02-07 10: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수출 증가율, 11년 만에 최저치 전망…부동산시장 냉각도 계속

중국 경제가 경착륙에 진입할 것이라는 우려가 퍼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까지 2년간 인플레이션과 부동산 버블 억제를 위한 긴축정책을 펼쳐왔다.

최근에는 유럽 재정위기 불안까지 겹치면서 중국 경제는 사면초가에 빠진 형국이다.

중국 관영 매체인 차이나데일리는 최근 올해 수출 증가율이 연기준 15%로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지난 2001년 이후 1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해 12월 수출 증가율은 13.4%를 기록해 ‘춘제(설날)’ 연휴로 통계 왜곡이 발생한 지난해 2월을 제외하고 2009년 11월 이후 2년여 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달에 50.5로 2개월 연속 확장세를 이어갔으나 향후 수출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신규수출주문지수는 전월의 48.6에서 46.9로 하락했다.

부동산시장도 중국 경제의 족쇄로 작용하고 있다.

부동산 부문은 중국 국내총생산(CDP)의 약 1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가구와 전자, 건설 등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크다.

중국 최대 부동산 정보업체 소우펀홀딩스 산하 중국지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 100대 도시 부동산 평균 가격은 전월 대비 0.18% 하락했다.

주택 가격은 5개월째 하락해 지수연구원이 통계를 집계한 지난 2010년 7월 이후 최장 기간 하락세를 보였다.

문제는 중국 정부가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실시한 4조위안(약 711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과 같은 대규모 정책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당시 경기부양 자금의 대부분이 은행 대출을 통해 부동산 부문으로 흘러 들어가 부동산 버블과 인플레이션 등 위기를 고조시켰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부동산시장의 냉각에도 불구하고 원자바오 총리 등 중국 고위층이 현 정책 기조 유지를 강조하는 것도 섣불리 긴축정책을 완화했다가 부동산 가격이 다시 뛸 것을 우려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평가다.

재정정책을 펼친다 하더라도 기준금리나 은행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등 통화정책 완화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부양책 효과가 떨어지지만 이미 부작용을 경험한 정부 입장에서는 행보에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유럽발 수출 둔화 우려에 정부는 내수시장 진작을 카드로 내세우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대책도 나오지 않은 상태다.

중국 정부가 지난 2009년 6월 실시했던 가전제품 구매 보조금 정책이 지난해 종료되면서 중국 가전업계는 올해 시장규모가 전년보다 최소 10% 이상 축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반려 식물로 취미·힐링·인테리어까지…‘식집사’가 되어보자①[Z탐사대]
  • [종합] 미국 대선구도 급변...바이든, 사퇴압박에 재선 포기
  • 웨어러블 헬스케어 기기 각축전…‘반지의 제왕’은 삼성?
  • '가계대출 한파'에 카드론 잔액 역대 최고…불황형 대출 '불티'
  • [중앙은행 게임체인저 AI] 파월 대신 챗GPT가?...“금리 결정 인간 몫이나 예측은 가능”
  • 입주물량 매년 10만 가구씩 '뚝뚝'…착공 실적은 역대 최저 수준[부동산시장 3대 절벽이 온다①]
  • 시청률로 본 프로야구 10개 구단 인기 순위는? [그래픽 스토리]
  • "귀신보다 무서워요"…'심야괴담회' 속 그 장면, 사람이 아니었다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5,075,000
    • +0.82%
    • 이더리움
    • 4,930,000
    • -0.12%
    • 비트코인 캐시
    • 559,000
    • +0.9%
    • 리플
    • 832
    • -0.24%
    • 솔라나
    • 257,200
    • +5.5%
    • 에이다
    • 622
    • +1.47%
    • 이오스
    • 851
    • -0.47%
    • 트론
    • 187
    • -1.06%
    • 스텔라루멘
    • 147
    • -0.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550
    • +0.08%
    • 체인링크
    • 20,760
    • +3.75%
    • 샌드박스
    • 486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