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올해 5월 기준 23만8000명이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이들 중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이 8만2000명(34.2%)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1000명) 순이었다.
3년 이상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 이상이 직업 훈련이나 취업 시험 준비, 구직활동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다.
특히 미취업 기간이 3년 이상이면 니트족 비율이 34.2%까지 상승했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니트족은 2021년 9만6000명에서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 명으로 점차 감소하다 올해 8만2000명으로 늘며 증가 전환했다.
청년층 인구의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증가세가 시사하는 바는 더욱 크다. 5월 기준 청년층 인구는 817만3000명(15세 이상 인구의 17.9%)으로 전년동월대비 24만3000명이나 줄었다.
높은 취업 경쟁률, 낮은 임금, 불안정한 근로조건 등은 청년들이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쉬었음 상태로 머물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지만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가 심화하고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않는 상황에서 취업 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조규준 한국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정부 지원의 실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립청년에 대한 보다 세밀한 지원이 필요하며 청년들을 당장 취업 현장에 투입하는 데 목적을 두기보다는 심리적 회복과 더불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한 후에 취업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