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용성' 신고가 속출 영향…'하반기 집값 오른다' 의견 늘었다

입력 2024-07-10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택 매매 가격 전망, 소비자 응답 비중 추이. (자료제공=부동산R114)
▲주택 매매 가격 전망, 소비자 응답 비중 추이. (자료제공=부동산R114)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보는 사람의 비중이 늘어났다. 여전히 '보합' 예상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지만, '상승'과 '하락'에 대한 예상은 차이가 커졌다.

1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전국 성인 1028명을 대상으로 한 '2024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 결과 36%가 하반기에 주택 매매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직전 조사인 2024년 상반기 전망 설문에서는 집값이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을 2년 만에 역전(상승 30%, 하락 25%)한 바 있다. 부동산R114의 '상·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는 2008년부터 매년 2회씩 진행되고 있다.

이번 조사 결과에서는 상승(36%)과 하락(21%) 사이 격차가 더 벌어졌다. 다만 직전 조사와 마찬가지로 보합에 대한 전망이 10명 중 4명 수준으로 여전히 가장 많은 답변을 차지한 만큼, 상승과 하락에 대한 소비자 의견은 팽팽하게 맞서는 중이다.

매매 전망과 달리 임대차 가격에 대한 답변은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을 크게 압도했다. 전세가격은 상승을 예상하는 응답이 42.80%, 하락 응답이 13.33%로 상승 비중이 3배 이상 많았다. 월세가격 전망도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이 44.75%, 하락 응답이 9.82%로 4.6배나 더 많다. 최근 들어 수요 대비 전세물건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신축 공급이 부족한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전∙월세 가격의 추세 상승이 예견되는 분위기다.

매매가 상승을 예상한 응답자 다수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2.05%)’을 이유로 선택했다. 올해 들어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의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늘어나면서 외곽지 중심으로 거래량은 물론 가격도 회복세에 들어갔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그 다음으로는 ‘기준금리인상 기조 변화(23.56%)’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2023년 2월 이후 1년 이상 연 3.5% 수준에서 동결됐고, 미국도 2023년 9월 이후 1년 가까이 연 5.25~5.5%로 동결돼 하반기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인하)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11.23%)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9.32%)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7.40%) 등을 선택했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경기 침체 가능성(39.91%)’을 이유로 선택했다. 과거 대비 낮아진 경제성장률 전망(저성장)과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 △대출금리 부담 영향(14.22%)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10.55%)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0.55%) △이자 및 세금 부담으로 인한 매물 증가(7.80%) 등이 뒤를 이었다.

전세 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440명 중 30.91%는 매수 심리 위축으로 전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 주요 지역 위주로 회복된 가격에 대한 부담감과 과거 대비 높은 대출 금리 등으로 위축된 매수 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물건 공급 부족(19.55%)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 물량 부족(19.55%)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12.05%) △월세 가격 오름세에 따른 전세가 상승 압력(10.68%) 등으로 나타났다.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26.28%)’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약 1만2000가구 규모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의 입주가 2025년에서 올해 11월로 빨라지면서 인접 지역에서의 전세가격 하락 기대감이 커진 분위기다.

이어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18.25%)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15.33%) △전세보증보험 가입요건 강화 영향(10.22%) △2020~2021년 전세가격 급등 부담감(10.22%) 등이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됐다.

소비자들은 올해 하반기 핵심 변수로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33.95%)’을 1순위로 꼽았다. 최근 금리와 관련된 이슈가 뒤로 밀리고 경제성장률 및 수출과 관련된 거시경제 이슈가 선두로 부상한 분위기다. 그 외 주요 변수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5.66%)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1.87%) △전월세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8.95%)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경기 지표 변화(8.85%) △정부의 270만가구+α 주택공급 정책(6.03%) △건축비 등 물가상승(인플레이션) 요소(6.03%) △PF 부실 및 금융권 연체율 상승 가능성(5.25%) 등을 선택했다. 정부는 5월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을 발표하며 부실 사업장 정리와 정상 사업장 선별 지원 등의 옥석 가리기 등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실제 PF 시장의 연착륙 유도가 가능할지 건설사와 금융권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조사는 6월 24일부터 7월 5일까지 12일간 온라인 설문조사로 진행됐다. 남성 응답자는 47.2%, 여성 응답자는 52.8%였다. 지역별 응답자 비중은 서울 30.9%, 경기 38.8%, 인천 7.7%, 지방 22.6%였다. 연령별로는 20대 10.9%, 30대 45.0%, 40대 33.2%, 50대 이상 10.9%였다. 조사의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3.06%포인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데드풀과 울버린', 이대로 '마블의 예수님' 될까 [이슈크래커]
  • 2024 파리올림픽 한국선수 주요 경기일정 정리 [그래픽 스토리]
  • 연 최대 4.5% 금리에 목돈마련과 주택청약까지…'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십분청년백서]
  • [2024 세법개정] 상속세 25년만 손질, 최고세율 50%→40%…종부세는 제외
  • 효자템 ‘HBM’ 기술 개발 박차…SK하이닉스, 하반기도 AI 반도체로 순항
  • 美 증시 충격에 코스피 질주 제동…호실적도 못막았다
  • 정부 "의대 교수들 '수련 보이콧' 발생하면 법적 조치 강구"
  • [티메프發 쇼크 ]“티몬 사태 피해금액 공시해라”…여행주 도미노 타격에 주주들 발만 동동
  • 오늘의 상승종목

  • 07.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81,000
    • -0.01%
    • 이더리움
    • 4,450,000
    • -4.51%
    • 비트코인 캐시
    • 503,500
    • -1.08%
    • 리플
    • 839
    • -3.23%
    • 솔라나
    • 240,000
    • -3.5%
    • 에이다
    • 549
    • -4.69%
    • 이오스
    • 776
    • -7.07%
    • 트론
    • 190
    • +1.6%
    • 스텔라루멘
    • 144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8,200
    • -7.62%
    • 체인링크
    • 18,040
    • -4.3%
    • 샌드박스
    • 429
    • -4.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