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인더스트리,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입력 2024-06-26 09: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지난해 ESG 활동 성과와 중장기 계획을 담은 '2023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제공=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스트리가 지난해 ESG 활동 성과와 중장기 계획을 담은 '2023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 (제공=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지난해 ESG (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 성과와 중장기 계획을 담은 '2023년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6일 밝혔다.

보고서는 온실가스 감축, 안전보건 관리 강화, 기후변화 대응 체계 구축 및 내재화 등의 노력과 성과를 상세히 담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2047년까지 넷제로(탄소중립)를 목표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생산 공정에 폐열스팀(폐기물 에너지) 활용 △화석연료 대신 바이오가스 이용 △폐수 재사용량 확대 △폐기물 처리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폐기물 감량 등을 통해 작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명세서 기준 전년 대비 10%가량 줄였다.

올해는 이런 활동을 바탕으로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가이드라인 기반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발맞춰 스코프(Scope)별 탄소중립 로드맵을 단계적으로 이행할 예정이다.

일부 사업장에서 시행하던 화학물질 위험성평가를 전 사업장으로 확대하고, 전사 안전 철칙인 '세이프티 골든 룰(Safety Golden Rules·SGR)'을 중대 재해와 직결되는 필수 항목 중심으로 재선정했다.

또한 안전소통 문화 확산을 위해 '툴 박스 미팅(Tool Box Meeting·TBM)'을 전사 제도로 도입했다. TBM은 작업 전 전체 작업자가 모여 작업 내용과 안전한 작업 방법을 논의하는 안전점검 회의다.

대표이사 직속의 ESG경영센터도 신설했다. 기존 ESG 업무를 통합해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 및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김영범 코오롱인더스트리 대표이사는 “지속가능한 성장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전 사업 영역에서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들이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기본 원칙을 흐트러짐 없이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대표적 글로벌 조사기관인 에코바디스(EcoVadis)로부터 올해 4년 연속 ‘골드’ 등급을 받았다. 골드 등급은 전체 심사 대상 업체 중 상위 5%에만 부여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405,000
    • -1.4%
    • 이더리움
    • 4,771,000
    • -1.61%
    • 비트코인 캐시
    • 546,500
    • +0.37%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198,700
    • -4.79%
    • 에이다
    • 547
    • -0.73%
    • 이오스
    • 825
    • +0.12%
    • 트론
    • 174
    • +1.16%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00
    • -1.34%
    • 체인링크
    • 19,550
    • -3.12%
    • 샌드박스
    • 474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