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래소 코인 상장 심사 까다로워지는데…카이아(Kaia), 6월 말 출시 불발

입력 2024-06-17 16: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클레이튼, 핀시아 재단의 새 통합 브랜드 'kaia(카이아)' 브랜드 이미지(BI). (제공=클레이튼, 핀시아 재단)
▲클레이튼, 핀시아 재단의 새 통합 브랜드 'kaia(카이아)' 브랜드 이미지(BI). (제공=클레이튼, 핀시아 재단)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통합 블록체인 프로젝트 카이아(Kaia)의 아부다비 법인 등록이 미뤄지면서 통합 토큰 출시 역시 연기됐다. 여기에 7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함께 가상자산 거래지원 가이드라인도 곧 공개될 예정이라, 카이아 통합 토큰의 거래소 상장 및 상장 유지에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하게 될 가능성이 생긴 상황이다.

17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클레이튼과 핀시아 재단의 통합 블록체인 메인넷 프로젝트인 카이아(Kaia)의 통합 토큰 출시가 연기됐다. 당초 통합 재단은 6월 말 출시를 목표로 통합 과정을 준비해 온 바 있다.

양 재단은 공지를 통해 “(통합 재단은) 아부다비 글로벌마켓(ADGM)의 분산원장(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재단 규정에 따라 통합 재단을 설립하고 있다”면서도 “DLT 재단의 등록 프로세스가 예상보다 지연돼, 카이아(Kaia) 메인넷 런칭 일정이 3분기로 소폭 연기됐다”고 밝혔다. 이어 “ADGM과 생산적인 논의를 이어오고 있으며, DLT 재단의 설립을 위해 여러 가지 산업적인 규제나 기술의 검토는 물론, 생태계 차원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통합 토큰의 출시가 3분기로 연기되면서, 카이아 토큰의 국내 거래소 상장 및 상장 유지에 또 다른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생겼다. 통합 토큰의 출시 및 거래지원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1단계법) 및 거래소 상장지원 공동 가이드라인이 적용된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클레이튼 재단은 “카이아 팀은 주요 거래소들과 관련 소통을 해 왔으며, 메인넷 출시 일정과 무관하게 거래지원에 대한 제반 업무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만, 거래소 업계에서는 이용자보호법 시행 이후 거래지원 심사가 전보다 까다로워 질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국내 한 거래소 업계 관계자는 “현재까지 거래소들이 자발적으로 심사를 해왔고, 현재 내용과도 크게 다르지는 않다”면서도 “이제는 가이드라인으로 명문화된 만큼 문제가 될 수 있는 자산의 거래지원에 대한 책임이 조금 더 명확해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거래지원이나 거래지원 유지와 관련한 모니터링이 조금 더 엄격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가이드라인으로 인해 심사가 얼마나 타이트해질지 모르겠지만, 분명 영향은 있을 것”이라고 했다.

금융감독원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함께 마련한 가상자산 거래지원 가이드라인은 다음 달 19일부터 본격 시행될 이용자보호법에 맞춰 공개될 예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거래소들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발행 주체의 신뢰성 △이용자 보호장치 △기술·보안 △법규 준수는 물론 과거 사업 이력 등도 심사하게 되고, 이후 3개월마다 유지심사도 진행하게 될 전망이다.

가이드라인에 대해 금융 당국 관계자는 “국회에서 (1단계) 법을 제정할 때 부대 의견으로 공동 기준 마련 등을 지원하도록 해 관련 작업을 진행한 것”이라면서도 “자율규제인 만큼, 위반한다고 해서 법률로서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다만, (1단계) 법에는 발행 상장 관련 내용이 없어, 규제 공백을 자율규제로 보완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통합을 앞둔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가상자산 클레이(Klay)와 핀시아(FNSA) 가격은 이달 들어 지속 하락하고 있다. (출처=코인마켓캡)
▲통합을 앞둔 클레이튼과 핀시아의 가상자산 클레이(Klay)와 핀시아(FNSA) 가격은 이달 들어 지속 하락하고 있다. (출처=코인마켓캡)

한편, 클레이튼의 가상자산 클레이(Klay) 가격은 이달 들어 지속 하락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이달 3일 한때 330원까지 상승했던 클레이는 이날 오후 3시 기준 전날보다 약 4% 하락한 238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기간 핀시아(FNSA) 역시 4만8000원대까지 상승했으나, 이날 24시간 전보다 3.45% 하락한 3만3437원에 거래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403,000
    • -0.35%
    • 이더리움
    • 4,761,000
    • -0.23%
    • 비트코인 캐시
    • 532,500
    • +0.09%
    • 리플
    • 668
    • -0.45%
    • 솔라나
    • 192,600
    • -0.47%
    • 에이다
    • 548
    • -0.72%
    • 이오스
    • 812
    • -0.37%
    • 트론
    • 175
    • +2.94%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200
    • +0.4%
    • 체인링크
    • 19,850
    • -0.05%
    • 샌드박스
    • 473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