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회의 "북·러 군사협력 증가,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

입력 2024-06-15 11: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오른쪽)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사벨레트리 디 파사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첫날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사벨레트리=AP/뉴시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오른쪽)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가 1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사벨레트리 디 파사노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첫날 양자 회담을 하고 있다. 사벨레트리=AP/뉴시스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14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증가를 강력히 규탄했다.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한 흔들림 없는 지원도 약속했다.

G7 정상들은 이탈리아 풀리아에서 열린 정상회의 폐막을 하루 앞둔 14일 저녁(현지시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우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수출과 러시아의 조달 그리고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한 러시아의 이러한 미사일 사용 등 북한과 러시아 간 군사협력 증가를 가능한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고 15일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또 “우리는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배되는 핵 또는 탄도미사일 관련 기술이 북한으로 이전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며 “러시아와 북한이 이러한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하고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G7 정상들은 북한의 계속되는 탄도미사일 개발과 관련 기술을 이용한 발사도 비판했다. 이들은 “우리는 북한의 모든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폐기를 거듭 촉구한다”고 했다.

G7 정상들이 공동성명에서 가장 먼저 거론한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서는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자유와 재건을 위한 투쟁을 위해 시간이 얼마 걸리든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기 위해 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동결된 러시아 국유 자산의 특별 수입을 활용해 약 500억 달러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며 “우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오해의 여지가 없는 신호를 보냈으며, 러시아 군산복합체의 무장 해제와 재원 고갈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G7 정상들은 러시아가 불법적 침략 전쟁을 끝내고 우크라이나가 입은 4860억 달러 규모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이런 의무를 이행할 모든 합법적 방법을 계속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러시아 침략에 대해 물질적 지원하고 제재 회피를 돕는 자들에 강력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G7 정상들은 가자지구 즉각 휴전과 모든 인질 석방,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 등을 담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3단계 휴전 협상안’에 대한 전폭적 지지를 재확인했다. 이들은 “우리는 하마스가 휴전 제안을 완전하고 분명하게 수용하고 이행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며 “하마스에 영향력을 가진 국가들이 이를 보장하도록 도울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이스라엘이 이 제안을 수용하고 이행할 준비가 된 것을 환영한다”고 했다.

이스라엘에 대해서도 가자 최남단 라파 공세 자제를 촉구했다. 정상들은 “우리는 라파에서 진행 중인 지상 작전이 민간인에게 미칠 결과와 민간인에게 더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전면적 군사 공격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며 “이스라엘 정부에 이러한 공세를 자제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이번 공동성명에는 중국을 겨냥한 경고성 메시지도 담겼다. G7 정상들은 “러시아의 방위 산업 기지에 대한 중국의 지속적인 지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불법적인 전쟁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며 “우리는 중국이 러시아 국방 부문에 투입되는 무기 부품·장비를 포함한 이중용도 물품의 이전을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발표했다.

또 중국의 불공정한 사업 관행이 자국 노동자와 산업에 피해를 주고 있다며 이에 대한 대처 필요성에 공감했다. 다만 “G7은 중국에 피해를 주거나 중국의 경제 발전을 저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불공정 관행으로부터 우리 노동자와 기업을 보호하고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피해를 구제하기 위해 필요하고 적절한 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95,000
    • -0.43%
    • 이더리움
    • 4,809,000
    • -2.93%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7.04%
    • 리플
    • 700
    • +0.14%
    • 솔라나
    • 193,700
    • -4.3%
    • 에이다
    • 530
    • -6.85%
    • 이오스
    • 781
    • -10.84%
    • 트론
    • 163
    • -0.61%
    • 스텔라루멘
    • 128
    • -5.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050
    • -8.61%
    • 체인링크
    • 19,290
    • -4.22%
    • 샌드박스
    • 444
    • -10.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