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지지율 5%p 반등한 26%...정상외교 영향 [한국갤럽]

입력 2024-06-14 11: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부정평가 66%, 4%p 하락...동해 가스전 영향 미미
국민의힘 30%...민주당 27%, 尹정부 들어 최저치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오후(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힐튼호텔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오후(현지시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힐튼호텔에서 열린 '한-카자흐스탄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2주 전 대비 5%포인트(p) 상승한 26%를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4일 나왔다. 중앙아시아 3국 정상외교 성과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날 한국갤럽이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평가는 26%로 2주 전 조사 대비 5%p 상승했다.

4‧10 총선 이후 해당 조사에서 급락한 윤 대통령 지지율이 25%를 넘어선 건 약 2개월 만이다.

부정평가는 4%p 내린 66%로 조사됐다. 2주 전 실시된 직전 조사에서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비율은 각각 21%와 70%로 취임 후 최저치,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전 지역에서 상승했다.

특히 서울에서 10%p로 가장 많이 올랐으며, 이어 대전/세종/충청·대구/경북에서 각각 7%포인트, 부산/울산/경남 4%p, 인천/경기·광주/전라 각각 3%p 등 순으로 올랐다.

전 연령대에서도 오름세를 보였다. 18~29세 1%p, 30대 9%p, 40대 5%p, 50대 4%p, 60대 9%p, 70대 이상 8%p 각각 올랐다.

성향별로는 보수 7%p, 중도 4%p, 진보 3%p 등 순으로 각각 올랐다.

긍정평가 이유를 살펴보면 ‘외교’가 직전 조사 대비 10%p 상승하며 23%를 기록해, 지지율 상승에 중앙아시아 3개국 정상외교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3~5일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10일부터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으로 정상외교를 이어가고 있다.

이어 ‘의대 정원 확대’(10%), ‘전반적으로 잘한다’(6%)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부정평가 이유 중에는 ‘경제·민생·물가’가 13%로 1위였다. 윤 대통령이 3일 첫 국정브리핑에서 발표한 동해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표와 관련해 ‘동해 유전 신뢰할 수 없음’이라는 이유도 2%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0%, 민주당 27%, 조국혁신당 11%, 개혁신당 4% 등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은 직전 조사와 같았고 민주당은 2%p 하락했다.

민주당 지지율은 5월 4주차 조사 이후 내내 내림세를 보이다가 현 정부 출범 후 최저치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 제공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추출을 통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로 진행됐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며 응답률은 11.0%다. 자세한 조사 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09,000
    • -0.67%
    • 이더리움
    • 4,763,000
    • -1.18%
    • 비트코인 캐시
    • 541,000
    • -2.35%
    • 리플
    • 669
    • +0%
    • 솔라나
    • 199,600
    • -2.06%
    • 에이다
    • 554
    • +2.4%
    • 이오스
    • 817
    • -0.12%
    • 트론
    • 175
    • +2.34%
    • 스텔라루멘
    • 128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00
    • -1.56%
    • 체인링크
    • 19,480
    • -2.45%
    • 샌드박스
    • 475
    • +0.6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