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합격선 2점 내려갈 것”…지역 인재도 합격선 하락 전망

입력 2024-06-11 14: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역인재, 수능 최저 충족해도 합격사례 늘 것”

(이투데이 DB)
(이투데이 DB)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따라 내년도 입학시험에서 의대 정시 합격선이 기존보다 2점 하락하고 수시 지역인재 전형에서도 합격선이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1일 메가스터디교육은 최근 4년간 자사의 ‘6월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풀서비스’ 이용자 33만8000명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같이 공개했다.

6월 모평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정시 모집에서 의대에 지원 가능한 수능 최저 점수가 국어·수학·탐구 영역 백분위 합산(300점 만점) 기준 289점으로, 지난해(291점) 보다 2점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또 2025학년도 의대 전체 모집인원이 전년 대비 1497명 늘어나고, 이 중 지역인재 전형의 몫도 크게 늘면서 의대 입시 합격선이 전반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측된다.

의대 합격선 하락에 따라 메가스터디 측은 “치의예, 수의예, 약학, 주요 상위권 대학 등도 연쇄적으로 합격선이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함께 지역 인재 전형 합격선도 종전에 비해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의대 입시를 보면 지방 지역인재 전형에서 1등급 중후반의 내신을 받은 학생들이 합격한 사례가 있다. 실제 충남대에서는 내신이 3.48등급이 합격하기도 했다.

메가스터디 측은 “올해는 지역 인재 전형이 대폭 확대돼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판단된다”며 “수능 최저 등급을 맞추는 데 중점을 두고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외에도 주요 상위권 대학에서 수능 응시계열 제한을 폐지하면서 과학탐구 2과목을 선택한 비율이 지난해 95.1%에서 올해 80.2%로 15%포인트(p) 가량 감소했다.

반면 ‘과학탐구+사회탐구’ 조합은 지난해 1% 수준에서 올해 10.1%로 크게 늘었고 사회탐구 2과목 선택비율도 지난해 3.6%에서 올해 9.7%로 증가했다.

통상 일부 대학을 제외한 주요 상위권 대학의 자연계에서 확률과 통계, 사탐 응시자는 지원이 불가능했지만 2025학년도엔 서울대와 고려대 등을 제외한 대부분 대학이 이 제한을 풀었다.

이에 일부 자연계열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사탐으로 선택과목을 바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메가스터디 측은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정시 모집에서 인문 계열은 사회탐구, 자연 계열은 과학탐구에 가산점을 줘 신중해야 한다”며 “가산점을 포함한 유불리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네이버웹툰, 나스닥 거래 첫날 9.52% 급등 마감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이해인, 성추행 논란에 "연인 사이였다" 주장…피해 선수 측 "정신과 치료 중"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방탄소년단 '활중' 미리 알고 주식 판 하이브 직원들…결국 법정행
  • 국내 최초 지역거점 바이오클러스터 ‘춘천 바이오클러스터’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09:5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76,000
    • +0.62%
    • 이더리움
    • 4,845,000
    • +1.83%
    • 비트코인 캐시
    • 544,000
    • +2.84%
    • 리플
    • 667
    • +0.45%
    • 솔라나
    • 207,900
    • +7.55%
    • 에이다
    • 550
    • +1.29%
    • 이오스
    • 824
    • +1.85%
    • 트론
    • 171
    • -1.72%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50
    • +1.03%
    • 체인링크
    • 20,150
    • +3.02%
    • 샌드박스
    • 475
    • +0.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