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 총출동’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 ‘바이오USA’ [가보니]

입력 2024-06-04 15:05 수정 2024-06-04 18:0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88개국서 1만 개 이상 기업 참가…주요 중국 바이오기업 불참 화두

▲‘2024 바이오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이 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막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2024 바이오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이 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막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올해 바이오USA에 참가한 한 글로벌 제약사는 이번 행사에서 미팅의 90%가 한국 기업이라고 합니다.”

3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개막한 ‘2024 바이오인터내셔널컨벤션(바이오USA)’에 참가한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전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행사에서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의 경쟁력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는 의미다.

바이오USA는 세계 최대 바이오 행사로 전 세계 기업, 기관, 투자자, 정부 관계자들이 모여 교류하는 자리다. 주최 측에 따르면 올해 총 88개국에서 1만 개 이상의 기업들이 참가했다. 전시장 운영 부스는 1400여 곳이며, 사전등록 관람객 수는 1만8000명에 달한다. 예상 관람객은 2만여 명이다.

행사 첫날 컨벤션 센터 입구는 입장 QR 코드를 발급받으려는 줄로 길게 늘어섰다. 행사장은 세계 각국 제약‧바이오 관계자들로 더 붐볐다. 입구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곳이 한국바이오협회와 코트라가 운영하는 한국관이다. 올해 한국관에는 역대 최다 규모인 41개사가 35개 부스에서 참관객을 만났다.

박성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북미지역 본부장은 “올해 역대 최대규모 기업이 참가했고 한국관 크기도 커졌다”며 “이번 행사 기간 국내 기업을 도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국관 참가 기업 대표는 “부스를 제공해줘 미팅을 위해 돌아다닐 필요도 없이 할 수 있어 편리하다. 협회에서도 세심하게 챙겨줘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참가 소감을 전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 USA에서 전시장 메인 위치에 139㎡ 규모로 부스를 설치하고 신규 위탁개발(CDO) 플랫폼 에스-텐시파이와 셀렉테일러 홍보에 집중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 USA에서 전시장 메인 위치에 139㎡ 규모로 부스를 설치하고 신규 위탁개발(CDO) 플랫폼 에스-텐시파이와 셀렉테일러 홍보에 집중했다. (이상민 기자 imfactor@)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건 12년 연속 단독부스로 참여한 삼성바이오로직스다. 전시장 메인 위치에 139㎡ 규모로 부스를 설치하고 신규 위탁개발(CDO) 플랫폼 에스-텐시파이와 셀렉테일러 홍보에 집중했다. 제임스 최 부사장은 “부스에서 에스-텐시파이와 셀렉테일러를 소개하고 있다”며 “사전 확정된 미팅이 85건으로 이번 행사에서 활발한 세일즈 활동을 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밖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부스에 콘텐츠 월을 설치하고 영상이 제공되는 LED 패널을 통해 내년 준공되는 5공장을 포함한 바이오의약품 생산능력(78만4000리터), 항체약물접합체(ADC) 포트폴리오 등을 소개했다.

▲셀트리온은 부스에서 후속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해 ADC, 항체신약 등 제품부터 오픈이노베이션 사업,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네트워크 등에서 파트너들과 활발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제공=셀트리온)
▲셀트리온은 부스에서 후속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해 ADC, 항체신약 등 제품부터 오픈이노베이션 사업,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네트워크 등에서 파트너들과 활발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진제공=셀트리온)

셀트리온은 행사 첫날 작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약 500명 이상의 업계 관계자들이 부스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번 행사에서 후속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해 ADC, 항체신약 등 제품부터 오픈이노베이션 사업,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 네트워크 등에서 파트너들과 활발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150여 개 기업과 미팅을 진행할 예정으로, 행사 기간 1000명 이상 참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올해 처음 참가하는 SK바이오팜과 SK바이오사이언스는 공동부스를 마련해 글로벌 기업들과 파트너링에 나섰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관계자는 “SK 바이오 계열사들이 국제 규모의 바이오 박람회에서 홍보관을 운영하는 것은 처음”이라며 “이번 행사를 통해 SK 그룹의 바이오 역량을 선보이고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3년 연속 참가하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부스 뒤편에 글로벌 제약사, 바이오 벤처들과의 파트너링 논의할 수 있는 프라이빗 미팅룸을 만들어 수주 활동에 나섰다. 또 부스를 찾는 방문객을 위한 회사 소개 콘텐츠도 전시했다.

▲바이오 USA에 참가한 SK바이오팜와 SK바이오사이언스‧롯데바이오로직스‧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에스티팜(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이상민 기자 imfactor@)
▲바이오 USA에 참가한 SK바이오팜와 SK바이오사이언스‧롯데바이오로직스‧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에스티팜(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이상민 기자 imfactor@)

올해 바이오USA에는 미국 의회가 발의한 생물보안법의 영향으로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주요 중국 기업의 불참이 화두였다. 다수 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이 반사이익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차바이오텍, 에스티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등은 부스를 열고 고객사 확보에 나섰다.

국내 한 바이오기업 대표는 “미국에서 중국 CDMO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50%가 넘는다”며 “국내 기업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올해 바이오 USA에서 생물보안법이 가장 큰 의제다. 중국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미국이나 일본 CDMO 기업이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국가적인 아젠다를 갖고 바이오 사업에 대한 주권을 어떻게 할지 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96,000
    • +0.92%
    • 이더리움
    • 4,771,000
    • +0.95%
    • 비트코인 캐시
    • 530,000
    • +1.05%
    • 리플
    • 666
    • -0.75%
    • 솔라나
    • 192,300
    • +1.58%
    • 에이다
    • 548
    • +0%
    • 이오스
    • 812
    • +0.5%
    • 트론
    • 174
    • +1.75%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50
    • +1.68%
    • 체인링크
    • 19,860
    • +1.38%
    • 샌드박스
    • 472
    • +1.5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