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에 K커머스 혼쭐...민·관·학계 “토종플랫폼 잘 키워야”

입력 2024-05-28 21: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유통학회ㆍ중기중앙회ㆍ온라인쇼핑협회 주관 국회 토론회 지상중계

“제조, 유통, 물류 생태계 강화...규제 풀고 해외진출 지원을"

▲사진 왼쪽부터 우경필 중기부 사업영역조정과장, 윤영범 산업부 온라인유통TF팀장, 박진용 건국대 교수, 정연승 단국대 교수, 이정희 중앙대 교수,박수영 국회의원, 이동일 한국유통학회장(세종대), 옥경영 숙명여대 교수, 구진경 산업연구원 박사, 백운섭 한국플랫폼입점사업자협회 회장. (사진제공=온라인쇼핑협회)
▲사진 왼쪽부터 우경필 중기부 사업영역조정과장, 윤영범 산업부 온라인유통TF팀장, 박진용 건국대 교수, 정연승 단국대 교수, 이정희 중앙대 교수,박수영 국회의원, 이동일 한국유통학회장(세종대), 옥경영 숙명여대 교수, 구진경 산업연구원 박사, 백운섭 한국플랫폼입점사업자협회 회장. (사진제공=온라인쇼핑협회)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C커머스의 거센 공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제조·유통·물류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정부가 K커머스(한국 이커머스)에 대한 규제만 외칠 것이 아니라 국내 플랫폼의 해외 진출 지원 등을 통해 생태계 전반을 확장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박진용 건국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유통학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온라인쇼핑협회 공동주관으로 열린 ‘중국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에 따른 유통·제조업의 위기’ 토론회에서 국내에서 이미 대세가 된 C커머스를 해외 판로 확대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C커머스 진출 흐름을 막을 수는 없다”면서 “국내 셀러들이 해당 플랫폼을 활용해 해외로 나가는 ‘역직구’ 등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거대 C커머스에 맞설 국내 플랫폼 육성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연승 단국대 교수는 “플랫폼은 국가 안보 문제와도 연결되는 만큼 양국 간 플랫폼 경쟁에서 밀릴 경우 미래시장에서 힘을 잃게 될 수 밖에 없다”며 “국내 플랫폼이 힘을 키울 수 있는 해법을 정부와 업계가 함께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뒤이은 토론회에서 국내 플랫폼 경쟁력 강화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플랫폼 입점업체를 대표해 토론자로 나선 백운섭 한국플랫폼입점사업자협회장은 “정부는 소상공인이 입점할 수 있는 플랫폼만 규제해 결과적으로 우리를 힘들게 하고 있다”면서 “소상공인 판매자들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국내 플랫폼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하소연했다.

구진경 산업연구원 박사는 단순한 유통 플랫폼이나 특정 기업 지원이 아닌, 플랫폼 생태계 전반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구 박사는 “현재 이커머스 플랫폼은 금융에서 IT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범위에 있는 주체들이 생태계를 이루고 있고 이 과정에서 거래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투명성 확보가 이뤄지는 것이 C커머스에 대응할 수 있는 첫 단계”라고 주장했다.

조성현 한국온라인쇼핑협회 사무총장도 “플랫폼 생태계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새롭게 출범하는 22대 국회에서도 국내 온라인쇼핑 시장이 내수·글로벌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규제보다는 육성과 진흥에 초점을 맞춘 법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이날 학계와 업계 의견을 청취한 윤영범 산업통상자원부 온라인유통TF 팀장은 “글로벌 유통기업의 국내 시장 확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국내 플랫폼을 고도화하고 대형마트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유통산업 경쟁력을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배근미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44,000
    • +2.82%
    • 이더리움
    • 4,836,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3.26%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6,100
    • +4.3%
    • 에이다
    • 552
    • +1.85%
    • 이오스
    • 812
    • +2.14%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110
    • +5.73%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