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대마 합법화 추진하는데...태국 시민 76% “마약류로 재지정해달라”

입력 2024-05-20 10:35 수정 2024-05-20 11: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타 총리, 이달 초 대마 마약류 재지정 관련 개정 지시
NDA 설문조사 결과 찬성 응답률 76%에 달해

▲태국 방콕의 한 대마 판매 상점에 불이 켜있다. 방콕/AP연합뉴스
▲태국 방콕의 한 대마 판매 상점에 불이 켜있다. 방콕/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선을 앞두고 연방 차원에서 대마 합법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미 합법화에 나섰던 태국에서는 마약류 재지정 추진에 대한 지지 여론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태국 국립개발청(NDA)이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18세 이상 태국 국민 131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76%가 세타 타위신 태국 총리가 추진하고 있는 대마 마약류 분류 재추진 정책에 ‘완전동의’ 또는 ‘대체로 동의’한다고 답했다.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3.4%에 그쳤고, 답변을 거부하거나 이 문제에 관심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0.9%였다.

NDA의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약 75%가 의료용 대마의 제한적 사용을 지지했으며, 응답자의 19%는 대마 사용을 뒷받침하는 그 어떤 정책도 집행해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태국은 아시아권 최초로 2018년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했으며 농가소득과 관광산업 활성화 차원에서 2022년 6월부터 대마를 마약류에서 제외하고 가정 재배도 허용했다.

하지만 대마 합법화 이후 향락 목적 사용자가 늘면서 오남용과 청소년 중독 등 사회적 문제가 커졌다.

이에 세타 총리는 지난 8일 보건부에 대마를 마약에 다시 포함하도록 올해 안에 규정을 개정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통제하에 의료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향락용 사용은 금지될 예정이다.

하지만 대마 합법화 취소 방침에 대한 반발도 만만치 않다. 대마 합법화 지지자들은 지난주 최근 성장하고 있는 대마 관련 산업과 대마 재배 농가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마악류 재지정 추진 계획을 재고해달라며 시위를 벌였다.

한편 미국에서는 마리화나(대마) 규제 완화 검토에 들어갔다. 미국에서 마리화나는 50년 넘게 헤로인과 LSD와 같은 합성마약과 함께 스케줄 1(Schedule 1)로 분류돼왔는데 이를 해열진통제 타이레놀과 전신 마취제 케타민과 같이 스케줄 3으로 낮추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미 미국에서는 38개 주와 수도 워싱턴 D.C.에서 의료용 대마초를 합법화하고 있으며 이 중 24개 주는 기호용 마리화나 사용도 허용하고 있다. 다만 연방 차원에서는 현재까지 불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020,000
    • +2.68%
    • 이더리움
    • 4,838,000
    • +1.7%
    • 비트코인 캐시
    • 556,500
    • +3.73%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6,500
    • +4.66%
    • 에이다
    • 550
    • +1.29%
    • 이오스
    • 813
    • +2.14%
    • 트론
    • 175
    • -1.69%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250
    • +3.1%
    • 체인링크
    • 20,030
    • +5.09%
    • 샌드박스
    • 466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