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S]듀크대, 네오이뮨텍 ‘IL-7’ ARS연구 “NIH서 6백만弗 지원”

입력 2024-05-13 09: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베니 첸 네오이뮨텍 과학자문위원 주도..‘NT-I7’ 투여 따른 T세포 회복 등 확인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듀크대 연구진이 수행하는 ‘NT-I7(efineptakin alfa)’의 급성방사선증후군(acute radiation syndrome, ARS) 치료제 연구를 위해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의 국립알러지전염병연구소(NIAID)로부터 최대 600만달러를 지원받는다고 13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해당 연구 지원비를 통해 방사선 노출 이후 NT-I7 투여에 따른 빠른 T세포 회복이 보이는 장점, 특히 생존율 증진과 주요 감염병 발병저하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NT-I7은 네오이뮨텍의 반감기를 늘린 IL-7 사이토카인 약물이다.

해당 연구는 듀크대 의대 소속이자 네오이뮨텍의 과학자문위원인 베니 첸 박사가 주도할 예정으로, 첸 박사는 지난 2019년도부터 방사선 노출 이후 NT-I7의 T세포 증폭 및 회복 효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비임상 연구 결과를 2022년에 미국 방사선 피폭 장해 네트워크(Radiation Injury Treatment Network, RITN)와 미국 방사선연구학회(Radiation Research Society, RRS)에서 발표한 바 있다.

최근 네오이뮨텍은 설치류 실험 및 그 이후에 진행할 허가용 동물실험을 위해서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대면 미팅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네오이뮨텍은 이 미팅 결과를 토대로 FDA의 관점에서 허가에 반드시 필요한 실험조건, 데이터 등 FDA의 ‘Animal Rule’에 의거한 구체적인 실험 방식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비 지원으로 진행될 첸 박사의 연구 결과 또한 FDA 승인허가 자료에 포함될 수 있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네오이뮨텍과 사전에 충분한 논의를 통해 설정될 예정이다.

오윤석 네오이뮨텍 대표는 “NT-I7이 ARS 치료제로 승인을 받을 수 있는 전략을 동시에 펼치고 있다. FDA와는 당사가 직접 소통하면서 최종 허가관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동물실험 디자인에 바탕을 둔 허가 전략과 함께 미국 정부의 연구비 지원을 통하여 승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빠짐없이 갖추려고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81,000
    • +0.24%
    • 이더리움
    • 4,761,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536,500
    • -1.56%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200,000
    • -0.05%
    • 에이다
    • 547
    • -1.08%
    • 이오스
    • 802
    • -4.41%
    • 트론
    • 177
    • +2.31%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1.73%
    • 체인링크
    • 19,180
    • -4.29%
    • 샌드박스
    • 465
    • -2.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