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선방한 유통업계...라방 늘린 홈쇼핑, 숨통 뚫었다

입력 2024-05-12 1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TV홈쇼핑 4사 CI.  (이투데이 그래픽팀)
▲TV홈쇼핑 4사 CI. (이투데이 그래픽팀)

경기 불황과 중국 이커머스의 상륙 등 악재에도 국내 유통업계가 올해 1분기 비교적 견조한 실적을 냈다. 이런 결과는 고금리와 소비 침체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사업 확장 욕심을 버리고, 그동안 잘했던 것을 더 잘하자는 '본업' 충실 전략이 성과를 낸 결과로 풀이된다. 유통업계 중에서도 송출수수료 부담으로 '블랙아웃(방송중단)' 사태까지 일으켰던 홈쇼핑업계의 선방이 눈에 띈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1분기 실적 발표를 완료한 롯데·신세계·현대백화점은 경기 침체에도 오프라인 체험형 콘텐츠 확대 등을 통해 외형 성장과 수익을 모두 챙겼다.

롯데백화점은 전년 1분기 대비 1.4% 증가한 8156억 원의 매출을 냈다. 신세계는 7.0% 증가한 6641억 원, 현대백화점은 3.6% 증가한 5936억 원의 매출을 각각 기록했다. 특히 신세계는 거래액이 1조 8014억 원을 기록하며 1분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신세계와 현대백화점은 나란히 1000억 원대 수익 기반을 지켰다. 전년 대비 각각 3.1%, 8.3% 올라 1137억 원, 1031억 원의 영업이익을 낸 것이다. 롯데백화점의 영업이익은 9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31.7% 감소했다. 이는 명예퇴직 보상비 등 일회성 비용이 237억 원가량 발생한 결과다.

특히 TV 시청 인구가 감소해 침체기를 거듭하던 TV홈쇼핑의 실적 반등이 눈에 띈다. 송출수수료 부담으로 TV 외 판매 채널 다양화, 사업 구조 개편 등 수익성 개선에 주력, 홈쇼핑 4사 모두 영업이익이 늘었다.

특히 롯데홈쇼핑의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1분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6% 감소한 2275억 원이었으나, 영업이익은 156.1% 증가한 98억 원을 기록했다. 패션·뷰티 등 고수익 상품 판매량이 증가했고, 라이브 방송 집중 전략도 영업이익 증대에 한몫했다.

CJ온스타일은 1분기 매출 3478억 원, 영업이익 262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각각 지난해보다 10%, 49.5% 신장했다. TV와 모바일을 융합한 '원플랫폼' 전략이 맞아떨어진 결과다. 현대홈쇼핑도 1분기 홈쇼핑 별도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1% 늘어난 2955억 원, 영업이익은 14.9% 증가한 206억 원을 냈다.

GS샵(GS홈쇼핑)은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8% 축소된 2763억 원이었으나,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8% 증가한 328억 원을 기록했다. 판관비 감축, 라이브방송 확대 등 비용 효율화 노력이 실익으로 이어졌다.

업계는 특히 젊은 층이 선호하는 모바일 라이브방송을 늘린 것도 수익 개선에 도움이 됐다고 입을 모은다. 각 사 디지털(온라인·모바일) 매출 비중을 보면 GS샵이 59.6%, CJ온스타일은 53.7%이며, 현대·롯데홈쇼핑도 50% 선에 근접해가고 있다. 홈쇼핑업계 관계자는 "송출수수료 부담 속 수익성 확보를 위해 올해 모바일 채널 확대 전략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38,000
    • -0.62%
    • 이더리움
    • 4,774,000
    • -1.24%
    • 비트코인 캐시
    • 539,500
    • -4.26%
    • 리플
    • 670
    • -0.3%
    • 솔라나
    • 200,300
    • -1.81%
    • 에이다
    • 556
    • +1.83%
    • 이오스
    • 814
    • -1.69%
    • 트론
    • 176
    • +2.92%
    • 스텔라루멘
    • 128
    • -2.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750
    • -3.16%
    • 체인링크
    • 19,510
    • -2.79%
    • 샌드박스
    • 475
    • -0.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