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중앙은행 총재, 국방비 급증에 경종 …“경제에 위험 초래”

입력 2024-04-01 10:5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DP 대비 부채 비율 상승…“비율 안정화가 기본 원칙 돼야”

▲아미르 야론 이스라엘 중앙은행총재가 지난해 11월 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연구 콘퍼런스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아미르 야론 이스라엘 중앙은행총재가 지난해 11월 9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연구 콘퍼런스에 참석하고 있다. 워싱턴D.C./로이터연합뉴스
아미르 야론 이스라엘 중앙은행총재가 국방비 급증이 경제에 위험을 가하고 있다며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야론 총재는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이스라엘 중앙은행의 연차 보고서를 제출한 뒤 “이스라엘이 중장기적으로 채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시장의 평가는 이율의 추가 상승이나 평가 절하,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스라엘은 7개월째 접어들고 있는 이슬람 무장단체 하마스와의 전쟁이 재정을 압박하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높아졌다. 야론 총재는 “작년 말에는 이 비율이 1.4%포인트(p) 늘어난 61.9%에 달해 국가 주요 전략 자산 중 하나가 타격을 입었다”고 말했다.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의 전쟁을 위해 올해 국방 예산을 두 배 늘렸다. 정부는 이미 2025년부터 매년 100억 셰켈의 지출 증액에 합의했다. 일각에서는 이를 두 배 더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는 GDP 대비 부채비율에 큰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을 짚었다.

이스라엘 정부는 이미 조정을 통해 향후 몇 년간 GDP 대비 부채 비율을 67%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야론 총재는 “시장이 전쟁 중 높은 일시적 적자를 허용하려면 GDP 대비 부채 비율의 안정화가 기본 원칙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야론 총재는 이전에 경제에 미칠 파급 효과를 고려한 다년간의 예산 계획 수립을 위해 특별 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네타냐후 총리는 해당 위원회를 이미 발표했지만, 아직 인력을 배치하거나 논의를 시작하지는 않았다.

네타냐후는 보고서를 받은 뒤 이스라엘의 무기 생산 자급자족을 다시 한번 촉구하면서 “이번 전쟁에서 드러난 필요에 맞게 예산을 재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시청역 대형 교통사고 흔적 고스란히…“내 가족·동료 같아 안타까워”
  • "100% 급발진" vs "가능성 0"…다시 떠오른 고령자 면허 자격 논란 [이슈크래커]
  • 징크스 끝판왕…'최강야구' 설욕전, 강릉영동대 직관 경기 결과는?
  • 황재균도 류현진도 “어쩌겠어요. ABS가 그렇다는데…” [요즘, 이거]
  • ‘좀비기업 양산소’ 오명...방만한 기업 운영에 주주만 발 동동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③]
  • 주류 된 비주류 문화, 국민 '10명 중 6명' 웹툰 본다 [K웹툰, 탈(脫)국경 보고서①]
  • '천둥·번개 동반' 호우특보 발효…장마 본격 시작?
  • 박민영이 터뜨리고, 변우석이 끝냈다…올해 상반기 뒤흔든 드라마는? [이슈크래커]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312,000
    • -1.95%
    • 이더리움
    • 4,813,000
    • -1.41%
    • 비트코인 캐시
    • 538,000
    • -1.65%
    • 리플
    • 679
    • +1.34%
    • 솔라나
    • 214,100
    • +3.38%
    • 에이다
    • 585
    • +2.99%
    • 이오스
    • 820
    • -0.12%
    • 트론
    • 181
    • +0.56%
    • 스텔라루멘
    • 132
    • +1.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0.64%
    • 체인링크
    • 20,510
    • +0.98%
    • 샌드박스
    • 463
    • -0.8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