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 두 달째 30만 명대...제조업↑ㆍ숙박음식↓[종합]

입력 2024-03-13 09:44 수정 2024-03-13 17:3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청년층 취업자 16개월째 감소…고용률 61.6% 동월 최대

지난달 취업자가 33만 명 가까이 늘면서 두 달 연속 30만 명대 증가를 이어갔다.

제조업 취업자는 수출 호조로 3만 명 넘게 늘어 석 달째 증가세를 지속했다. 반면 내수 부진 여파 등으로 숙박음식업 취업자는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24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804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9000명(1.2%) 늘었다.

올해 1월(+38만 명)이어 두 달 연속 30만 명대 증가 폭을 기록한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29만7000명 늘어 일자리 증가세를 주도했다. 50대와 30대도 각각 8만4000명, 7만1000명 늘었다.

반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청년 인구 감소 여파 등으로 전년보다 6만1000명 줄어 16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다만 청년 고용률은 전년보다 0.5%포인트(p) 오른 46.0%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 작성 이래 2월 기준 역대 최고다. 청년 실업률은 0.5%p 하락한 6.5%로 2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40대 취업자는 6만2000명 줄어 20개월째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3만8000명 늘어 석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전달(+2만 명)보다 증가 폭이 확대됐다. 이는 수출 호조세와 관련이 있다. 지난달 수출액(24억1000만 달러)은 반도체를 중심으로 전년보다 4.8% 늘어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9만8000명), 정보통신업(+8만 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7만8000명) 등의 취업자도 크게 늘었다. 건설업 취업자도 3만6000명 늘어 6개월째 증가했다.

반면 대면 서비스업인 숙박·음식점업은 2000명 줄어 전달(-8000명)에 이어 감소했다. 관련 취업자가 크게 늘어난 지난해의 기저효과와 내수 부진 여파가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다.

이 업종의 취업자는 2022년 5월부터 작년 12월까지 20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인 전체 고용률은 61.6%로 전년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동월 기준 역대 최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7%p 오른 68.7%다. 1관련 통계 작성 이후 2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실업자(91만5000명)는 전년보다 2만5000명 늘어 4개월째 오름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실업률은 3.2%로 전년대비 0.1%p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수출개선 등 경기회복으로 양호한 고용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다만 건설수주 부진에 따른 건설고용 둔화 가능성 등 하방요인은 상존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출·내수의 균형잡힌 회복과 경제역동성 제고를 통한 민간 중심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화하고, 지역투자 활성화 등 건설투자 보강 방안도 마련해 추진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582,000
    • +1.01%
    • 이더리움
    • 4,790,000
    • +0.55%
    • 비트코인 캐시
    • 543,000
    • +0.74%
    • 리플
    • 665
    • -0.45%
    • 솔라나
    • 202,200
    • +1.1%
    • 에이다
    • 542
    • -0.37%
    • 이오스
    • 803
    • +0.63%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450
    • +0.48%
    • 체인링크
    • 19,320
    • +1.05%
    • 샌드박스
    • 459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