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일 신임 금통위원 “객관적 분석보며 금리 결정…매파·비둘기파 이분법, 성향에 안 맞아”

입력 2024-02-13 11: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3일 취임식 이후 기자들 만나, 다음주 금통위 앞두고 말 아껴
“한은, 경제분석 국내 최고…객관적으로 보면서 판단할 것”
대내외 리스크로 가계부채·세계경제 분절화 각각 꼽아

(한국은행)
(한국은행)
황건일 신임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은 13일 “(한국은행 분석 내용을) 객관적으로 보면서 상황에 맞게 여러 가지 결정(통화정책 방향)을 할 것이고, 당장 성향(매파, 비둘비파)은 모르겠다”고 밝혔다.

이날 신임 금통위원으로 취임식을 가진 후 기자들과 만나 다음주(22일)에 예정된 금통위에서 금리 조정 등을 묻는 질문에 “한국은행의 경제 분석 능력은 대한민국 최고”라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새가 참 많은데 왜 비둘기, 매만 있는지 모르겠다. 소척새도 있고 솔개도 있고, 같은 매 중에도 황조롱 등이 있다”면서 “꼭 이분법적(매, 비둘기)인 것은 제 개인 성향에도 안 맞지 않나 이렇게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황 위원은 국내 리스크로는 가계부채를, 해외 리스크로는 경제 분절화를 각각 꼽았다.

황 위원은 “경제는 수출 쪽으로 회복하는 것 같은데 내수 쪽은 여전히 어려운 것 같다. 해외에서 바라볼 때 가계부채 문제가 큰 것 같다”면서 “세계 경제 블록화하고 분절화 현상이 가장 영향이 크다. 물론 국제적인 지금 전쟁 이런 것도 분쟁들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원자재 공급망이라든지 에너지, 식료품 가격의 원인은 과거와 달리 경제의 블록화, 분절화가 가장 큰 위험요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부동산PF에 대한 질문에 황 위원은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지금 어려운 건 사실인 것 같다”고 언급했다. 황 위원은 “금융감독원이라든지, 한은을 비롯한 정책 당국에서 다각적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도 서서히 좀 더 이렇게 좀 해결해 나갈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황 위원은 이창용 한은 총재와 2008년 청와대 경제수석실에서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했을 때와 세계은행 상임이사로 재직했을 때 인연이 있다고 말했다.

황 위원은 “세계은행에 있을 때 (이창용 총재는) IMF에 계셔서 이야기할 기회가 많았다”며 “2008년 청와대에 있었을 때 (이 총재는) 금융위 부위원장이었다. 그때 활약상을 정말 감동 깊게 본 적이 있다”고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403,000
    • -0.99%
    • 이더리움
    • 4,758,000
    • -1.53%
    • 비트코인 캐시
    • 538,000
    • -1.47%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197,500
    • -2.23%
    • 에이다
    • 559
    • +2.76%
    • 이오스
    • 822
    • +0.37%
    • 트론
    • 176
    • +2.92%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200
    • -2.58%
    • 체인링크
    • 19,660
    • -1.7%
    • 샌드박스
    • 474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