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 장관 “반도체 초격차 위해 평택·용인 투자 지속할 필요”

입력 2024-01-11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 장관 11일 SK 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5일 평택항 이어 수출 증가 의지
안 장관 “올해 수출, 반도체가 앞장설 것…HBM, DDR5 등 AI 수요에 적극 대응”
산업부 무역금융 355조원, 수출 마케딩 1조원 등 지원

▲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 (사진제공=게티이미지뱅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반도체 초격차 유지를 위해 경기도 평택·용인 중심으로 대규모 선제적 투자를 지속할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날 SK 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해 “수출은 반도체가 최전선에서 앞장서겠다는 각오로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 등 인공지능(AI) 수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취임 첫 행보로 5일 자동차 수출 현장인 평택항 방문에 이어 우리 수출 1위 품목인 반도체 생산현장을 방문해 수출 증가를 위한 의지를 내비쳤다.

안 장관은 “작년 반도체 수출이 글로벌 경기 침체와 반도체 업황 불황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플러스로 전환됨에 따라 우리 수출에 도약의 발판이 마련됐다”며 “올해에는 정보기술(IT)업황 회복, 메모리반도체 가격 상승 등 반도체 업사이클로 진입해 2024년은 반도체의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는 우리 수출의 1위 품목으로서 전체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을 확고히 하는 계기로 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반도체 수출이 역대 최고였던 해(2022년·1292억 달러)에 전체 수출 실적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2022년·6836억 달러)”며 올해 수출실적의 향방을 결정짓는 핵심요인으로 반도체를 언급했다. 그러면서 “반도체 클러스터의 조속한 조성,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통상환경 대응 등 초격차 유지를 위한 산업경쟁력 강화를 차질없이 중점 추진함으로써 이것이 지속적인 수출 확대와 민생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반도체를 필두로 수출실적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무역금융 355조 원 △수출 마케팅 약 1조 원 등 역대급의 수출 지원사업 집행 △통상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시장 다변화 △수출 역군 육성을 통한 외연 확대 등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출현장 지원단, 민관합동 수출확대대책회의 등을 통해 수출 현장의 애로를 신속히 해소하고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대책도 지속 마련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704,000
    • -0.48%
    • 이더리움
    • 4,774,000
    • -0.89%
    • 비트코인 캐시
    • 543,500
    • -2.07%
    • 리플
    • 668
    • -0.45%
    • 솔라나
    • 199,900
    • -2.01%
    • 에이다
    • 555
    • +2.4%
    • 이오스
    • 819
    • -0.24%
    • 트론
    • 175
    • +1.74%
    • 스텔라루멘
    • 129
    • -0.7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050
    • -1.94%
    • 체인링크
    • 19,520
    • -2.01%
    • 샌드박스
    • 476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