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소비·기업 설비 투자 후퇴
불확실성 속 안정적 성장 기반 구축 못 해
엔저는 미국 CPI 둔화에 모처럼 주춤
15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 내각부는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속보치)이 전 분기 대비 0.5%, 연율 환산으로 2.1% 각각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올해 처음으로 기록한 역성장이자 시장 전망치인 연율 0.4% 감소보다 훨씬 부진한 수치다.
일본 경제는 실질 GDP 증가율이 1분기 연율 3.7%, 2분기는 4.5%를 각각 기록하는 등 올해 고공 성장을 이어왔다. 하지만 엔저와 인플레이션 고착화 속에서 3분기 만에 다시 뒷걸음질 치게 됐다. 일본 경제가 역성장한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영향이 본격화한 2020년 이후 이번이 6번째다.
엔화 약세가 수입품 가격을 끌어올리면서 인플레이션을 부추겼고, 이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게 됐다. GDP 과반을 차지하는 개인소비가 전 분기 대비 0.04% 줄면서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민간 기업의 설비 투자도 0.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경제 지표는 일본의 경제 회복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취약하며, 정부와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블룸버그는 짚었다. 통화 약세, 인플레이션 장기화, 불투명한 해외 전망 등 온갖 불확실성 속에서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미룰 만한 근거가 추가됐다는 분석이다. 최근 시장에서는 일본은행(BOJ)이 조만간 마이너스 금리 등 초완화적 통화정책을 끝낼 출구 전략을 모색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었다.
블룸버그이코노믹스의 기무라 타로 선임 애널리스트는 “3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을 크게 밑돌면서, 결과적으로 일본은행의 금융완화 정책 지속을 뒷받침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GDP 후퇴 폭은 물론 주요 원인인 내수 침체도 걱정스럽다”며 “가계는 소비력을 빼앗는 ‘비용 압박 인플레이션’에 직면해 지출을 억제했고, 기업들은 설비 투자를 줄였다”고 분석했다. 하마긴연구소의 고이즈미 츠카사 이코노미스트도 “위태로운 결과”라며 “특히 꽤 탄탄하다고 생각했던 올여름 서비스 분야 지출에도 소비 부문이 감소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고 우려했다.
일본 엔화 가치는 최근 33년 만의 최저치에 바짝 다가서고 있다. 13일 뉴욕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은 151.92엔까지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기록한 1990년 이후 최고치(엔화 가치 최저)인 달러당 151.94엔에 근접한 수치다. 다만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엔·달러 환율은 전날 151엔대 후반에서 150엔대 중반 선으로 후퇴했다.
한편 해외 투자자들은 일본의 엔저 기조와 저금리 환경을 만끽하고 있다. 일본 국채 보유자 가운데 해외 투자자 비중이 처음으로 은행을 넘어선 것이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일본 국채 보유자 가운데 해외 투자자 비율이 14.5%, 은행은 13.1%로 각각 집계됐다. 낮은 엔화 조달 비용에 힘입어 해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가속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