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보, 몽골에 K-기업평가·리스크관리 노하우 공유

입력 2023-10-27 09:22 수정 2023-10-27 10:1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왼쪽)과 초크차이칸 사란투야 몽골신용보증기금 사장(오른쪽)이 26일 마포 ‘프론트원’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신보)
▲최원목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왼쪽)과 초크차이칸 사란투야 몽골신용보증기금 사장(오른쪽)이 26일 마포 ‘프론트원’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신보)
신용보증기금은 몽골 신용보증기금(CGFM) 실무자를 대상으로 신보의 우수한 기업평가와 리스크관리 노하우 등을 공유했다고 27일 밝혔다.

23일부터 5일간 이뤄진 이번 연수는 정부의 금융인프라 신흥국 수출 활성화를 통한 금융산업 육성정책을 뒷받침하고, 국내 기업의 진출이 많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신보의 보증제도 전수 프로그램을 전파함으로써 글로벌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연수에 참여한 CGFM 실무자들은 신용보증제도, 신용조사, 기업평가 및 리스크관리, 채권관리 등 신보 업무 전반에 대한 심층 교육을 받았다. 또한 영업점을 방문해 보증상담, 보증심사 등 신보의 업무절차에 대한 현장학습도 병행했다.

한편, 최원목 신보 이사장은 전일 마포 프론트원을 방문한 초크차이칸 사란투야 몽골신보 사장에게 신보의 스타트업 지원 노하우를 직접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초크차이칸 사란투야 사장은 “이번 연수를 통해 기업 평가와 스타트업 지원 분야에서 CGFM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아이디어와 노하우를 얻고 돌아간다”며 “앞으로도 신보와의 협력과 인력교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에 최 이사장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제도로 평가받는 한국형 신용보증제도는 특히 아시아에 적합한 모델”이라며 “신보를 주축으로 한 한국의 금융인프라 수출은 개발도상국의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해외에 진출하는 국내기업의 금융조달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보는 다음달 베트남, 캄보디아 등 개발도상국 정부 관계자를 초청해 중소기업 금융지원 강화 연수를 진행하며,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금융지원 지식공유 활성화 프로그램도 추진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마운트곡스 악재에 '쇼크' 온 비트코인, 6만1000달러로 소폭 상승 [Bit코인]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219,000
    • -0.83%
    • 이더리움
    • 4,739,000
    • -1.02%
    • 비트코인 캐시
    • 531,500
    • -2.92%
    • 리플
    • 660
    • -1.93%
    • 솔라나
    • 191,400
    • -1.59%
    • 에이다
    • 543
    • -2.34%
    • 이오스
    • 803
    • -1.83%
    • 트론
    • 173
    • +1.17%
    • 스텔라루멘
    • 127
    • -2.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950
    • -2.78%
    • 체인링크
    • 19,720
    • -0.6%
    • 샌드박스
    • 467
    • -1.8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