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 선택 시 10~40대 '워라밸'·50대 이상 '직업안정' 중시

입력 2023-10-21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용정보원, 워크넷 직업가치관검사 분석 결과

(자료제공=한국고용정보원)
(자료제공=한국고용정보원)

직업 선택 시 10~40대는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50대 이상 연령은 '직업 안정'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워크넷의 직업가치관검사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은 직업 선택 시 중요한 직업 가치관으로 '일과 삶의 균형(4.36점/5점 만점)'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이어 ‘경제적 보상(4.24점), ‘직업안정(4.16점)’ 등 순이었다. 대학생도 1순위로 일과 삶의 균형(4.31점)을 꼽았고, 경제적 보상(4.11점), 직업안정(4.08점) 등 순으로 선호했다.

대학생 제외한 성인도 청소년·대학생과 마찬가지로 일과 삶의 균형(4.14점)을 가장 중요시 했지만 2순위로 경제적 보상(3.98점)보다는 직업안정(4.06점)을 꼽았다.

직업가치관은 연령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10~40대는 공통적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다만 2순위 경우 10~20대는 경제적 보상을, 30~40대는 직업안정을 꼽았다.

50대는 일과 삶의 균형(4.14점·2순위)보다는 직업 안정(4.20점)을 1순위로 꼽았다. 3순위는 경제적 보상(4.05점), 4순위는 성취(3.97점)로 조사됐다.

60대 이상은 직업안정(4.25점), 일과 삶의 균형(4.09점), 성취(4.05점), 자기계발(4.03점), 경계적 보상(3.94점) 등 순으로 선호했다.

이번 분석은 2021년~2022년 중 워크넷의 직업가치관검사 표준화조사를 통해 표집된 만 15세 이상 전국 57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검사 문항은 사회공헌, 성취, 경제적 보상, 일과 삶의 균형, 자기개발, 사회적 인정, 직업안정, 변화지향 등 9개 가치요인 51문항이다. 해당 가치요인의 점수는 5점 만점 점수로 환산해 계산됐다.

고용정보원은 "직업을 선택할 때 직업가치관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기준이 된다"며 "직업가치관을 고려해 탐색한다면 나의 직업욕구에 적합한 직업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직업가치관검사는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되며, 만 15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받아볼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흑백요리사' 패자부활전 주제는 '편의점' 재료…추가 생존자 '3명' 주인공은?
  • “나야, 모기” 짧은 가을 점령…곧바로 극한 한파 온다 [해시태그]
  • "요즘 골프 안 쳐요"...직장인에게 가장 인기 있는 운동은? [데이터클립]
  • 미국 동부 항만노조, 47년 만에 파업 돌입
  • [종합]저축은행 부동산PF 구조조정 본격화…적기시정조치 이달 논의
  • 단독 추천 포즈도 알려준다… 진화하는 삼성 갤럭시 AI 카메라
  • 태풍 ‘끄라톤’ 한반도 비껴간다…가을비에 기온 ‘뚝’
  • 이스라엘 “헤즈볼라에 제한적 지상전 개시”…18년 만에 다시 국경 넘어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141,000
    • -3.47%
    • 이더리움
    • 3,272,000
    • -5.08%
    • 비트코인 캐시
    • 423,800
    • -6.43%
    • 리플
    • 808
    • -1.58%
    • 솔라나
    • 192,300
    • -6.7%
    • 에이다
    • 467
    • -7.16%
    • 이오스
    • 641
    • -8.17%
    • 트론
    • 206
    • +0%
    • 스텔라루멘
    • 125
    • -4.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200
    • -8.23%
    • 체인링크
    • 14,730
    • -7.12%
    • 샌드박스
    • 331
    • -9.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