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로슈진단 ‘네비파이 튜머보드’, 원자력병원 다학제 진료 지원

입력 2023-09-04 09:4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의료진 의사결정 및 업무 효율 높여 환자 맞춤형 진료시스템 기대

▲(왼쪽부터)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와 이진경 한국원자력의학원 의료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로슈진단)
▲(왼쪽부터)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와 이진경 한국원자력의학원 의료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로슈진단)

한국로슈진단과 한국원자력의학원(이하 원자력병원)이 다학제 진료 활성화 및 연구데이터 확장을 위한 네비파이 튜머보드(navify Tumor Board) 도입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4일 밝혔다.

한국로슈진단의 네비파이 튜머보드는 하나의 화면에서 환자의 데이터를 한눈에 보여주고, 각 환자에게 최적화된 글로벌 임상시험, 논문, 가이드라인 등을 추천해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통합 플랫폼이다.

이번 프로젝트로 한국로슈진단은 의료 빅데이터 전문 벤처기업 에비드넷과 협력해 원자력병원이 관리 중인 환자 정보 및 전자의무기록(EMR)을 네비파이 튜머보드에 연동하는 작업에 착수한다. 네비파이 튜머보드 플랫폼 구축이 완료되면 원자력병원의 여러 의료진들은 공동으로 환자 진단 및 치료 방안을 검토하는 과정에 이를 활용함으로써 다학제 진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실제로 네비파이 튜머보드는 환자별로 연관이 높은 임상시험 및 논문, 진료 지침 탐색 기능을 제공하는 등 의료진의 임상적 의사결정을 지원해 전체 다학제 진료 운영 프로세스 효율화 및 표준화에 큰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 네비파이 튜머보드 도입 시 다학제 진료 운영에 관련된 시간을 최대 30% 단축시켰으며, 환자별 준비시간 차이를 최대 76%까지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원자력병원은 네비파이 튜머보드 활용 시 표준화된 원내 데이터 구축과 의료진 간 연구데이터 공유가 쉬운 특성에 기반해 이차암 등의 연구과제 수행에 이를 적극 활용하는 등 다양한 의학 분야 간 토론을 촉진해 장기적인 의료 인사이트 및 혁신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이진경 한국원자력의학원장은 “네비파이 튜머보드 도입을 통해 의료진 간 협력과 의사소통을 강화하고 치료 결정 과정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환자분들께 다학제 진료 기반 최적의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원자력병원은 앞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표준화된 진료 및 연구데이터 구축을 통해 차세대 디지털 병원으로 도약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킷 탕 한국로슈진단 대표이사는 “네비파이 튜머보드는 환자들의 고유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료진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디지털 솔루션 플랫폼으로, 원자력병원과의 이번 협력을 통해 보다 혁신적인 맞춤의료 실현을 앞당길 수 있길 기대한다”며 “국내 의료진들의 진료 효율성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료기관과의 협력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올해 여름휴가는 짧게 국내로 가요" [데이터클립]
  • 23명 사망한 참혹한 현장…화성공장 화재, 인명피해 왜 커졌나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실패 추정"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09: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131,000
    • +2.31%
    • 이더리움
    • 4,782,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4.73%
    • 리플
    • 670
    • +0.15%
    • 솔라나
    • 192,600
    • +3.33%
    • 에이다
    • 553
    • +3.56%
    • 이오스
    • 815
    • +1.88%
    • 트론
    • 173
    • +2.98%
    • 스텔라루멘
    • 130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250
    • +3.71%
    • 체인링크
    • 19,930
    • +3.53%
    • 샌드박스
    • 474
    • +2.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