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상승 견인하는 위안화·원화 약세, 당분간 이어질 전망”

입력 2023-08-18 08:0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한국투자증권)
(출처=한국투자증권)

최근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오르는 가운데, 환율 상승의 주된 원인인 위안화와 엔화 약세 압력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연고점(1343.0원)을 터치하기도 했다.

18일 최제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6월부터 8월까지 원·달러 환율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달러화→엔화→위안화 충격이 환율 상승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7월 중순까지 가파른 약세를 보이던 달러화는 견조한 미 경제지표와 피치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이후 위험 회피 확대와 맞물려 일차적인 환율 상승을 견인했다”고 말했다.

최 연구원은 “엔화는 7월 일본은행(BOJ)의 수익률곡선통제(YCC) 정책 유연화로 일시적 강세를 보였다가 BOJ가 개입을 통해 10년물 국채금리 상승세를 저지함에 따라 약세로 전환했고 원화 역시 영향을 받았다”면서 “가장 최근에는 중국 경제지표 부진과 부동산금융 부문 리스크 확산에 따른 위안화 약세 압력까지 가세한 상황”이라고 짚었다.

환율 상승을 이끄는 요인들이 단기간에 해소되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최 연구원은 “중국 경제 부진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 부동산 경기 악화와 그림자 금융 리스크 확대 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있다”면서 “일본은 단기적으로 미 국채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BOJ의 추가적 정책 조정을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이므로 엔화 약세 압력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했다.

이어 그는 “3분기 중에는 장기물 중심으로 미 국채금리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4분기에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가 확인되고 견조했던 소비 중심으로 경기 하방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장기물 금리도 상승 폭을 일부 반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달러화 상승 압력도 누그러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올해 여름휴가는 짧게 국내로 가요" [데이터클립]
  • 23명 사망한 참혹한 현장…화성공장 화재, 인명피해 왜 커졌나 [이슈크래커]
  • 손웅정 감독, 아동학대 혐의 피소…"사랑 없는 행동 없었다"
  •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실패 추정"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황재균 이혼한 거 알아?"…뜬금없는 이혼설 중계에 지연 측 "사실무근"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6.26 10: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369,000
    • +2.38%
    • 이더리움
    • 4,791,000
    • +1.44%
    • 비트코인 캐시
    • 551,500
    • +4.35%
    • 리플
    • 672
    • +0.45%
    • 솔라나
    • 193,300
    • +3.59%
    • 에이다
    • 552
    • +2.99%
    • 이오스
    • 812
    • +1%
    • 트론
    • 173
    • +2.98%
    • 스텔라루멘
    • 130
    • +2.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300
    • +3.38%
    • 체인링크
    • 19,920
    • +2.89%
    • 샌드박스
    • 473
    • +1.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