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먼 JP모건 CEO “미국 신용등급 강등, 별로 중요한 일 아냐”

입력 2023-08-03 09: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안정성에 기대는 국가가 등급 더 높은 건 웃긴 일”
등급 하락 요인인 부채한도에 대해선 “폐지해야”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가 2월 8일 JP모건 주최로 열린 한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마이애미(미국)/로이터연합뉴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가 2월 8일 JP모건 주최로 열린 한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마이애미(미국)/로이터연합뉴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의 미국 국가 신용등급 강등을 평가절하했다.

2일(현지시간) 다이먼 CEO는 CNBC방송과 인터뷰에서 “대출 비용을 결정하는 건 신평사가 아닌 시장이기 때문에 (등급 강등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미국이 형성한 안정성에 기대고 있는 국가들이 미국보다 신용등급이 높다는 건 웃긴 일”이라며 “미국은 여전히 지구상에서 가장 안전하고 번영한 국가”라고 강조했다.

나아가 “미국 경제는 소비자와 기업의 강세, 낮은 실업률, 건전한 대차대조표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며 “경기침체에 빠지더라도 꽤 괜찮은 상황”이라고 평했다.

전날 피치는 미국 국가 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하향했다. 미국 의회가 매번 부채한도 상향을 놓고 어려움을 겪고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을 일으킨다는 게 주된 이유였다.

다이먼 CEO는 피치의 결정에 반박하면서도 부채한도에 대해선 일갈했다. 그는 “부채한도는 시장에 불확실성을 주는 방향으로 양당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며 “우린 부채한도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가 부채한도 폐지를 주장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올해 초 블룸버그통신과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의 신용은 신성불가침한 것”이라며 “이것을 다룰 때 게임 하듯 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부채한도 협상이 한창이던 5월엔 “상향 문제가 교착상태에 빠지면 금융 시장에 공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언젠가는 부채한도가 폐지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56,000
    • +2.84%
    • 이더리움
    • 4,836,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2.89%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5,900
    • +4.31%
    • 에이다
    • 552
    • +1.66%
    • 이오스
    • 812
    • +2.01%
    • 트론
    • 175
    • -0.57%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2.92%
    • 체인링크
    • 20,130
    • +5.84%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