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 취임 100일, 일본 투자 확대 행보·ESG 경영 강화…과제는 '리딩뱅크' 탈환

입력 2023-07-02 17:22 수정 2023-07-03 08: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랜 일본 근무 경험·노하우 살려
ESG 실행 추진 등 경영 강화 성과

지난달 30일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취임 100일을 맞았다. 진 회장은 취임 이후 일본에서의 근무 경험을 살려 한일관계 복원에 앞장섰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에도 성공했다는 평가다. 다만, 1분기 KB금융그룹에 1위 자리를 내어주는 등 실적에서는 미진한 모습을 보여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취임 당시 강조한 ‘강력한 내부통제’에 관해 이렇다 할 성과가 없다는 점도 숙제로 꼽힌다.

진 회장은 취임 직후인 4월 일본으로 첫 해외 기업설명회(IR)에 나섰다. 일본 기관 투자자 대상 투자 유치와 한일 양국 경제의 민간 교류 증진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였다. 진 회장은 일본 금융청을 방문해 신한은행의 현지 법인인 SBJ에 대한 지원 방안과 신한금융의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인 ‘신한 퓨처스랩 재팬’을 통한 한국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지원 및 일본 스타트업 육성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는 진 회장의 오랜 일본 근무 경험과 노하우를 살린 행보다. 그는 신한은행 근무 32년 중 14년을 일본에서 보낸 까닭에 은행장 시절부터 ‘일본통’으로 꼽혔다. 1997년 일본 오사카지점 근무를 시작한 진 회장은 앞서 2008년 오사카 지점장, 2011년 일본 SH캐피탈 사장, 2014년 SBJ은행 법인장을 역임했다.

그는 ESG 경영 강화에도 집중했다. 진 회장은 취임 직후인 4월 전 그룹사의 ESG 실행을 위한 ‘에너지에 진심인 신한금융그룹’ 전략 추진을 선언했다. 5월에는 ‘ESG 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완료했다. 2025년부터 시행되는 자산 2조 원 이상 상장사의 ESG 데이터 공시 의무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같은 달 세계은행그룹 산하 국제금융공사(IFC)와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활성화 협력을 통해 국내 탄소배출권 수요 기업에 대한 양질의 배출권 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로 했다.

실적 개선은 진 회장이 풀어가야 할 과제다. 신한금융은 올해 1분기 KB금융과의 경쟁에서 ‘리딩금융’ 타이틀을 뺏겼다. 신한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3880억 원으로, KB금융(1조4976억 원)에 밀렸다. 진 회장이 취임 당시 강조했던 ‘강력한 내부통제’에 관해 뚜렷한 행보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된다. 그는 취임사에서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의 성찰과 조직 전반에 흐르는 내부통제의 실천은 회사가 존재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내부통제 대책 마련 속도가 더딘 것은 맞다”면서도 “자회사 최고경영자(CEO) 평가 항목에 내부통제 부문을 추가하고, 지주사 부서장 등이 포함된 내부통제협의회, 윤리준법실무자협의체를 운영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0
    • +1%
    • 이더리움
    • 0
    • +0.29%
    • 비트코인 캐시
    • 0
    • +1.59%
    • 리플
    • 0
    • -0.45%
    • 솔라나
    • 0
    • +0.35%
    • 에이다
    • 0
    • -1.46%
    • 이오스
    • 0
    • -0.62%
    • 트론
    • 0
    • -0.56%
    • 스텔라루멘
    • 0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0
    • +0.24%
    • 체인링크
    • 0
    • -0.62%
    • 샌드박스
    • 0
    • -1.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