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장마감] 코스닥 729.0p, 상승(▲13.84p, +1.94%)마감. 외국인 +1822억, 기관 +1092억, 개인 -2789억

입력 2022-12-14 15: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상승세를 보였던 코스닥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사자’ 기조에 장 종반에도 상승 기조를 이어가며 마감했다.

14일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84포인트(+1.94%) 상승한 729.0포인트로 마감했다.

투자자 별 동향을 자세히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를 보였으며, 개인은 홀로 매도했다.

외국인은 1822억 원을, 기관은 1092억 원을 각각 매수 했으며 개인은 2789억 원을 매도했다.

업종별 현황은 IT S/W & SVC(+2.40%) 업종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IT H/W(+2.02%) 제조(+1.59%)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전기·가스·수도(-1.58%) 등의 업종은 하락세를 보였다.

이외에도 사업서비스(+1.53%) 유통(+1.50%) 교육서비스(+1.46%) 등의 업종이 상승 마감했다.

주요 테마 현황을 살펴보면 PCB생산(+3.15%), 2차전지(+3.01%), 태양광(+2.78%), 게임(+2.67%), 정보보안(+2.54%) 관련주 테마의 상승이 눈에 띄었으며, 통신(-0.80%), 자전거(-0.46%), 백화점(-0.36%), 보험(-0.15%), 여행·관광(-0.08%) 관련주 테마는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7개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다.

에코프로가 5.76% 오른 11만9400원에 마감했으며, 동진쎄미켐(+4.40%), 펄어비스(+3.91%)가 상승세를 보인 반면 HLB(-0.91%), 스튜디오드래곤(-0.23%)은 하락 마감했다.

그 밖에도 아우딘퓨쳐스(+26.57%), 경남제약(+25.64%), 서울제약(+21.98%) 등의 종목이 상승세를 보였으며, 에스케이증권7호스팩(-22.29%), 지엔원에너지(-9.81%), 형지I&C(-9.42%) 등은 하락세를 보였다. KPX생명과학(+29.95%), 피델릭스(+29.88%)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1211개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하락 종목은 237개다. 99개 종목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45,000
    • +2.82%
    • 이더리움
    • 4,839,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554,000
    • +3.26%
    • 리플
    • 669
    • +0.6%
    • 솔라나
    • 206,000
    • +4.25%
    • 에이다
    • 552
    • +2.03%
    • 이오스
    • 812
    • +2.14%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9
    • +1.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350
    • +2.84%
    • 체인링크
    • 20,110
    • +5.73%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