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 ‘대상’ 첫 수상

입력 2022-09-30 09: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소 모빌리티 콘셉트 ‘트레일러 드론’ 대상
대형 SUV 콘셉트카 ‘세븐’ 최우수상 받아

▲‘2022 레드 닷 어워드 : 디자인 콘셉트’에서 대상(Luminary) 선정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왼쪽부터 레드닷 아시아 지역 총괄 사장 켄 쿠, 김재규 현대차그룹 책임연구원, 염원철 팀장, 하정수 연구원, 신성재 연구원, 레드닷 회장 피터 젝 교수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2022 레드 닷 어워드 : 디자인 콘셉트’에서 대상(Luminary) 선정 후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왼쪽부터 레드닷 아시아 지역 총괄 사장 켄 쿠, 김재규 현대차그룹 책임연구원, 염원철 팀장, 하정수 연구원, 신성재 연구원, 레드닷 회장 피터 젝 교수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세계적인 디자인 상 ‘레드 닷 어워드’에서 차세대 수소 모빌리티 컨셉트 ‘트레일러 드론’의 ‘대상(Luminary)’ 등 총 3개의 상을 받았다고 30일 밝혔다.

트레일러 드론 외에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컨셉트카 ‘세븐(SEVEN)’이 최우수상을, 로보틱스 기술을 바탕으로 한 퍼스널 모빌리티 컨셉트 ‘플러그 앤 드라이브(PnD) 모듈’이 본상을 수상했다.

트레일러 드론으로 받은 대상은 최우수상으로 선정된 출품작 중 단 1개를 선정해 부여하는 상으로, 레드닷 어워드의 디자인 콘셉트 부분에만 있는 가장 영예로운 상이다. 현대차그룹이 대상을 수상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소연료전지 기반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트레일러 드론'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수소연료전지 기반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트레일러 드론'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대상을 받은 ‘트레일러 드론’은 수소연료전지 기반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모빌리티다. 수소연료전지 및 완전 자율주행기술이 적용된 2대의 '이-보기(e-Bogie)' 위에 트레일러가 얹혀 있는 형태를 가졌다. 일반 트레일러보다 좁은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기(Bogie)는 열차 하단에 바퀴가 달린 차대를 뜻한다.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발표한 트레일러 드론은 1회 충전으로 1,0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고, 컨테이너 트레일러와 별도로 운행할 경우 화물운송, 건설, 소방, 구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콘셉트카 '세븐'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콘셉트카 '세븐'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최우수상을 수상한 세븐은 대형 SUV 전기차의 비전을 제시하는 모델이다.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계된 세븐은 전형적인 SUV 디자인과는 전혀 다른 실루엣을 가지고 있다. 낮은 후드 전면부터 루프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곡선과 긴 휠베이스로 세븐만의 비율을 구현해 강렬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로보틱스 기술을 바탕으로 한 퍼스널 모빌리티 컨셉트 '플러그 앤 드라이브(PnD) 모듈'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로보틱스 기술을 바탕으로 한 퍼스널 모빌리티 컨셉트 '플러그 앤 드라이브(PnD) 모듈' (사진제공=현대자동차그룹)

올해 초 CES 2022에서 최초로 공개한 ‘플러그 앤 드라이브 모듈’은 본상을 받았다. 플러그 앤 드라이브 모듈은 인 휠(in-wheel) 모터와 스티어링,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및 환경인지 센서를 하나로 결합한 일체형 드라이브 모듈이다. 라이다(LiDAR)와 카메라 센서를 바탕으로 지능형 스티어링, 주행, 제동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360도 회전 등 자유로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를 지향하는 현대차그룹의 노력이 인정받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며 “단 하나의 출품작만 선정되는 대상을 수상한 것은 최고의 모빌리티를 구현하려는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의 열정과 노력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서 배터리 화재…"현재 정상운행 중"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105,000
    • +2.78%
    • 이더리움
    • 4,829,000
    • +1.66%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27%
    • 리플
    • 668
    • +0.45%
    • 솔라나
    • 205,700
    • +4.36%
    • 에이다
    • 550
    • +1.85%
    • 이오스
    • 811
    • +1.88%
    • 트론
    • 174
    • -1.14%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100
    • +2.35%
    • 체인링크
    • 20,030
    • +5.2%
    • 샌드박스
    • 464
    • +0.8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