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오늘 중동 3개국 순방 위해 출국…수소ㆍ방산협력 논의

입력 2022-01-15 09: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동행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 3개국 순방을 위해 출국한다.

해당 국가들과 수소경제ㆍ방위산업 분야 협력 단계를 끌어올려 한국 경제의 미래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는 게 이번 순방의 목적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16일부터 이틀간 UAE 실무방문에서 한ㆍUAE 수소협력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을 시작으로 셰이크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UAE 총리 겸 두바이 군주 면담 등의 일정을 소화한다.

특히 16일 두바이 엑스포 한국의 날 공식행사에 참석해 국제박람회기구 회원국 정상과 일반 관람객 등을 상대로 직접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홍보 활동에 나선다.

17일에는 무함마드 빈 자예들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제가 주최하는 '아부다비 지속가능성 주간 개막식 및 자이드상 시상식'에 참석, 탄소중립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아울러 아부다비 왕세제와의 정상회담에서 기후변화, 국방ㆍ방산, 보건의료 등의 분야에서 양국 협력을 심화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정부는 이미 UAE와 천궁-Ⅱ(중거리지대공미사일ㆍM-SAM)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은 18일부터 이틀간 사우디아라비아를 공식 방문해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와의 회담 및 '한ㆍ사우디 스마트 혁신성장 포럼'에 참석한다.

청와대는 수출입은행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회사 간 '기본여신약정 주요조건합의서'를 체결하는 등 문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계기로 우리 기업의 현지 진출 기반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20일부터 이틀간 이집트 공식 방문 기간에는 압델 파타 엘시시 이집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및 '한·이집트 미래ㆍ그린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등의 일정을 소화한다. 문 대통령은 6박 8일간의 순방 일정을 마치고 22일 귀국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3국 순방에는 대통령 외교안보특별보좌관인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동행한다. 임 전 실장은 지난 2019년 1월 비서실장직에서 물러난 뒤 UAE 특임 외교특별보좌관으로 임명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77,000
    • +0.21%
    • 이더리움
    • 4,761,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536,500
    • -1.56%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200,000
    • +0.05%
    • 에이다
    • 547
    • -1.26%
    • 이오스
    • 799
    • -4.77%
    • 트론
    • 176
    • +1.73%
    • 스텔라루멘
    • 12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50
    • -1.73%
    • 체인링크
    • 19,170
    • -4.34%
    • 샌드박스
    • 465
    • -2.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