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36.9% vs 윤석열 39.2%로 팽팽…안철수, 12.2%로 급상승

입력 2022-01-12 09:05 수정 2022-01-12 09: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李·尹, 동반 하락…安은 8%P 상승
심상정 3%대 박스권에 갇힌 상태
尹, 18~29세 지지율 41.3%로 굳건
尹·安 단일화는 오차범위 내 安 우세

(제공=리얼미터)
(제공=리얼미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차기 대선 후보 지지도 조사에서 오차범위 내 접전양상을 보였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급등했다.

12일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10일부터 이틀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발표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P))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는 36.9%, 윤 후보는 39.2%를 기록했다.

두 후보 모두 지난해 12월 20일~21일 진행된 조사보다 지지율이 소폭 하락했다. 윤 후보는 0.9%P, 이 후보는 0.1%P 내렸다.

두 후보가 소폭 하락하는 사이 안 후보는 급상승했다. 지난 조사에서 4.2%로 저조했던 안 후보는 이번 조사에서 8%P 상승한 12.2%를 기록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0.6%P 하락한 3.0%, 김동연 새로운물결 대선 후보는 0.6%P 내린 1.1%로 나타났다. 부동층은 5.7%를 기록했다.

주목할 점은 윤 후보가 20대에서 굳건한 지지율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윤 후보는 18~29세에서 41.3%를 기록하며 지지세를 회복하는 분위기다. 윤 후보는 이날도 페이커가 나오는 2022 리그오브레전드 스프링(LCK) 개막전 경기를 관전하고 게임 정책을 발표하는 등 20대 표심에 집중할 전망이다.

윤 후보와 안 후보의 야권 단일화 여론은 오차범위 내에서 안 후보가 우세한 결과가 나왔다. 단일화 적합 후보로 안 후보는 39.6%, 윤 후보는 35.6%였다 없다는 응답은 22.5%,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2%로 나타났다.

두 후보 중 누구로 단일화하든 이 후보에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 후보로 단일화된 구도에선 윤 후보가 43.6%, 이 후보가 38.1%를 기록했다. 안 후보로 단일화 시에는 안 후보가 42.3%, 이 후보가 33.2%로 나타났다.

자세한 여론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661,000
    • +1.05%
    • 이더리움
    • 4,776,000
    • +0.15%
    • 비트코인 캐시
    • 547,500
    • +1.67%
    • 리플
    • 666
    • -0.15%
    • 솔라나
    • 201,600
    • +0.55%
    • 에이다
    • 543
    • -1.09%
    • 이오스
    • 807
    • +0.37%
    • 트론
    • 177
    • +0.57%
    • 스텔라루멘
    • 12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500
    • -0.08%
    • 체인링크
    • 19,230
    • +0.21%
    • 샌드박스
    • 461
    • -1.0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