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_정오] 코스닥 1032.23p, 하락세 (▼1.75p, -0.17%) 전환

입력 2022-01-03 12: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전에 보합권에서 방향성 없이 흔들리던 코스닥시장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장 중반 하락 기조를 보이고 있다.

3일 정오 현재 코스닥지수는 1.75포인트(-0.17%) 하락한 1032.23포인트를 나타내며, 1030선을 두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 시간 현재 투자자 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만 홀로 매수 중이며,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3292억 원을 순매수 중이며 기관은 1016억 원을, 외국인은 2240억 원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 현황은 전기·가스·수도(+2.13%) 업종의 상승이 눈에 띄는 가운데, 숙박·음식(+1.75%) 오락·문화(+1.45%) 등의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에 광업(0.00%) 등의 업종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외에도 건설(+1.26%) 운송(+0.81%) 기타서비스(+0.81%) 등의 업종이 상승 중이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6개 종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스튜디오드래곤이 3.74% 오른 9만4400원을 기록 중이고, 카카오게임즈(+2.64%), 위메이드(+2.31%)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동진쎄미켐(-5.78%), 엘앤에프(-5.26%), 천보(-5.16%)는 하락세다.

그밖에 씨케이에이치(+24.21%), 핌스(+22.40%), 심텍홀딩스(+22.19%) 등의 종목이 상승세인 가운데, 자안바이오(-15.94%), 에디슨EV(-8.70%), 컴투스홀딩스(-7.66%) 등은 하락 중이다. 하나금융20호스팩(+29.98%), 로스웰(+29.97%) 등이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현재 상승 종목은 717개, 하락 종목은 613개이며 나머지 131개 종목은 보합세다.

외환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192원(+0.24%)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본 엔화는 1034원(+0.11%), 중국 위안화는 187원(+0.44%)을 기록 중이다.

[이 기사는 이투데이에서 개발한 알고리즘 기반 로봇 기자인 e2BOT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기사관련 문의 - e2bot@etoday.co.kr]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46,000
    • +2.82%
    • 이더리움
    • 4,834,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552,000
    • +2.89%
    • 리플
    • 669
    • +0.45%
    • 솔라나
    • 206,000
    • +4.36%
    • 에이다
    • 552
    • +1.85%
    • 이오스
    • 813
    • +2.14%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7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2.92%
    • 체인링크
    • 20,130
    • +5.84%
    • 샌드박스
    • 467
    • +1.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