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투자증권, “K-배터리 주목할 때…에코프로비엠ㆍ일진머티리얼즈 등 추천”

입력 2021-04-12 08:3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출처 = 유진투자증권)
(출처 = 유진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은 12일 LG와 SK의 미국 배터리 분쟁 합의에 따라 ‘K-배터리’ 전체를 억누르던 걸림돌이 제거됐다고 판단하고,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등 국내 배터리 기업을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을 내놨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LG는 보상금으로 추가 설비투자에 나설 수 있게 됐고, SK는 글로벌 3대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 확실한 미국에서 사업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면서 “이번 합의로 K-배터리업체들이 선점한 미국시장에서 전기차업체들과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굳건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K-배터리업체들에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 가장 중요하다. 바이든의 당선과 더불어 차량 연비규제가 강화되는 것을 예상해 업체들의 전기차 신차 출시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서다.

한 연구원은 “인프라 부양안에 포함된 전기차 부문 지원금액 1740억 달러 중 1000억 달러가 전기차 구매보조금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대당 구매보조금을 1만 달러로 가정하면 1000만대에 지급 가능한 액수”라고 말했다.

또 그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보조금은 과거의 후행적인 세금 공제와 달리 구매 시 현장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난해 33만 대에 불과했던 미국 전기차 판매는 올해 49만 대로 급증하고, 2023년에는 99만 대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셀 업체들의 합의로 소재/부품업체들도 그동안 준비해왔던 증설 페이스를 지킬수 있게 됐다는 판단이다.

한 연구원은 “미국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K-배터리 전체의 투자심리에 긍정적”이라면서 “최소 2025년까지는 미국 전기차 시장은 K-배터리업체들에 우선적인 지위를 부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한 연구원은 “셀 업체들뿐만 아니라 소재/부품업체들도 미국시장에 직접 진출해서 완벽한 현지화가 되는 시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소재/부품업체 중 에코프로비엠, 일진머티리얼즈, 솔루스첨단소재, DI 동일, 후성, 천보, 신흥에스이씨, 상아프론테크를 추천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올해 여름휴가는 짧게 국내로 가요" [데이터클립]
  • 23명 사망한 참혹한 현장…화성공장 화재, 인명피해 왜 커졌나 [이슈크래커]
  • 단독 ‘묻지마 현지법인’ 탓에…이마트24, 싱가포르서 철수
  • 합참 "북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발사…실패 추정"
  • 4.5세대? 5세대?…올림픽 마냥 4년 만에 돌아온 개정 시그널 [멍든 실손보험中]
  • [종합] 엔비디아 6%대 반등 속 뉴욕증시 또 혼조…나스닥 1.26%↑
  • 확 줄은 금융권 희망퇴직…신규 채용문도 굳게 닫혔다
  • 비급여치료 '우후죽순'…과잉진료 '대수술' [멍든 실손보험上]
  • 오늘의 상승종목

  • 06.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7,502,000
    • +2.93%
    • 이더리움
    • 4,807,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549,500
    • +9.68%
    • 리플
    • 672
    • +0.45%
    • 솔라나
    • 193,300
    • +4.77%
    • 에이다
    • 554
    • +4.33%
    • 이오스
    • 817
    • +2.13%
    • 트론
    • 173
    • +2.37%
    • 스텔라루멘
    • 130
    • +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550
    • +4.79%
    • 체인링크
    • 20,110
    • +5.45%
    • 샌드박스
    • 476
    • +3.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