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설 선물 56%↑…지난달 1259억 원 판매

입력 2021-02-02 17: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현수 장관 "코로나19·선물가액 상향 효과"

▲2일 세종시 로컬푸드 싱싱장터를 찾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소비자들에게 농축산물 소비 캠페인을 홍보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2일 세종시 로컬푸드 싱싱장터를 찾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오른쪽)이 소비자들에게 농축산물 소비 캠페인을 홍보하고 있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올해 설을 맞아 농산물과 가공식품 판매액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선물 가액 상향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했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4일부터 24일까지 12개 주요 유통업체의 농식품 선물 판매액이 125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805억 원에서 56.4%가 늘어난 것으로 조사했다.

품목별로 사과와 배 등 과일은 96.5%, 굴비·전복 등 수산물 78.3%, 홍삼·젓갈 등 가공식품 63.2%, 한우 등 축산물 28.0%, 인삼·버섯 등 기타 농축산물 21.8%씩 매출이 증가했다. 가격대별로는 선물가액 상향 범위인 10만∼20만 원대 선물은 30.5%가 늘었고, 5만∼10만 원대 선물 111.6%, 5만 원 이하 43.9%, 20만 원 이상 14.3%의 증가세를 보였다.

농식품부는 한시적으로 농식품의 선물가액을 상향하고 고향을 찾는 대신 선물을 보내는 경우가 늘어난 것을 매출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했다.

농식품부는 이 같은 분위기를 국산 농축산물 소비 확대로 이어지게 하려고 ‘설 착한 선물보내기 캠페인’도 펼친다. 농식품부를 시작으로 20여 개 소속·유관기관들은 모금을 통해 우리 농축산물 선물을 구매하고, 이를 취약계층에게 전달할 계획이다.

이날 세종시에 있는 로컬푸드 싱싱장터를 현장 방문한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착한 선물 보내기 캠페인과 농축산물 소비 쿠폰과 연계한 ‘대한민국 농할갑시다, 설 특별전’을 직접 홍보했다.

김 장관은 “청탁금지법 상 농식품 선물 가액 상향과 선물 보내기 효과로 설 농축산물 선물판매액이 크게 늘어나며 농축산물 소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며 “착한 선물보내기 운동이 농업계를 넘어, 민간부문까지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73,000
    • +2.93%
    • 이더리움
    • 4,847,000
    • +1.98%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3.64%
    • 리플
    • 667
    • +0.15%
    • 솔라나
    • 206,100
    • +4.46%
    • 에이다
    • 550
    • +1.66%
    • 이오스
    • 813
    • +2.14%
    • 트론
    • 176
    • -0.56%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3.09%
    • 체인링크
    • 20,080
    • +5.57%
    • 샌드박스
    • 466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