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호기 서울백병원 교수 "올 가을·겨울철, 코로나 2차 유행 대비해야”

입력 2020-05-19 15: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감염병 의료인력 확보 · 전염병 진료지침 재수립 · 상시 자문위원회 법률로 정해야

▲염호기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
▲염호기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
올 가을·겨울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땜질식 정책이 아닌 지속가능한 감염병 예방 정책을 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9일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호흡기내과 염호기 교수(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전문위원회 위원장)는 이 같이 밝히며 전염병 관리 목표와 감염 관리 및 격리 지침 등을 재설정하고 전염병 전담부처와 자문 위원을 전문 의료진과 전염병 전문가들로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감염병 컨트롤 타워를 설정하고, 권한을 모두 위임할 것을 당부했다.

염 교수는 “현재는 중앙방역대책본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질병관리본부 등 서로 역할이 겹치거나 조정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라며 “질병관리본부장이 컨트롤 타워 역할을 맡아 전염병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감염병 예방과 관리 시스템 개발도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염 교수는 “이번에 코로나19를 대응하면서 △온라인 교육 △재택 화상 근무 △원격 진료 △생활 치료 센터 △자가격리 프로그램등을 통해 ICT의 감염병 관리와 예방 효과가 입증됐다”며 “정부에서는 앞으로 다양한 ICT 개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전염병 발병 시 예비군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상시 훈련된 의료 지원 인력 준비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염 교수는 “훈련 예산과 동원 계획 등도 상황에 맞게 짜야 한다”며 “또 대구·경북에서 전염병이 발병한 규모처럼 전국에서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플랜 B’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 밖에 전문가 자문위원회 원칙과 시스템을 마련하고 운영방안을 법률로 정해야 하며, 병원과 의료진을 보호할 방안에 대한 수립과 병원에서 전염병 발생에 따른 새로운 진료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염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대응의 모범 사례가 되고 있다”며 “자만하지 말고 감염병 재유행에 대비해 지금부터 미비한 점을 하나하나 다시 점검하고, 지속가능한 감염병 정책을 세워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내용은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방안’으로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KMS) 5월호에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신생아 특례대출 기준 완화…9억 원 이하 분양 단지 '눈길'
  • 네이버웹툰, 나스닥 첫날 9.52% 급등…김준구 “아시아 디즈니 목표, 절반 이상 지나”
  • 사잇돌대출 공급액 ‘반토막’…중·저신용자 외면하는 은행
  • ‘예측 불가능’한 트럼프에…'패스트 머니' 투자자 열광
  • 임영웅, 레전드 예능 '삼시세끼' 출격…"7월 중 촬영 예정"
  • '손웅정 사건' 협상 녹취록 공개…"20억 불러요, 최소 5억!"
  • 롯데손보, 새 주인은 외국계?…국내 금융지주 불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31,000
    • -1.83%
    • 이더리움
    • 4,802,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1.74%
    • 리플
    • 672
    • +0.45%
    • 솔라나
    • 199,000
    • -4.74%
    • 에이다
    • 542
    • -0.91%
    • 이오스
    • 830
    • +0.97%
    • 트론
    • 173
    • +0%
    • 스텔라루멘
    • 130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900
    • -0.23%
    • 체인링크
    • 20,220
    • +1%
    • 샌드박스
    • 479
    • -0.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