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發 입국제한 42곳으로 급증…여행업계는 줄도산 공포

입력 2020-02-27 15:19 수정 2020-02-27 15: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한국을 거친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가 42곳으로 늘었다.

외교부는 27일 오전 10시 기준 한국을 거친 여행객들에 대해 입국금지 조치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는 총 21곳이라고 밝혔다. 전날 오후 6시 목록과 비교하면 몽골, 피지, 필리핀, 세이셸 등 4곳이 추가됐다. 몽골은 다음 달 11일까지 한국, 이탈리아, 일본에 방문한 여행자에 대해 입국을 금지했다. 필리핀은 대구ㆍ경북을 방문했던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으며, 피지는 최근 14일 이내 대구ㆍ청도 방문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했다. 아프리카의 휴양지 세이셸은 최근 14일 이내 한국을 방문한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입국을 금지하지는 않지만 한국을 거친 여행객에 대해 검역을 강화하거나 격리 조치를 시행하는 등 입국절차를 까다롭게 하는 국가와 지역도 21곳에 달한다. 전날과 비교하면 인도, 폴리네시아, 벨라루스, 파나마, 파라과이 등의 국가가 새로 추가됐다. 산둥성,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 중국 지방정부도 처음으로 집계에 포함됐다. 외교부는 그동안 중국 중앙정부의 공식 발표가 없다는 이유로 이들 지역을 입국제한 집계에 포함하지 않고 있었다.

외교부는 다양한 외교 경로를 통해 과도한 조치를 취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지만 한국 방문자의 입국을 금지하는 국가는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이태호 외교부 2차관은 이날 오전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외국의 조치들이 과도하다고 판단한다”며 “해당 조치들이 철회되고 자제되도록 최대한의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을 거친 여행객의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가 늘면서 국내 여행업계는 최악의 위기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달 1일부터 이날까지 폐업을 신고한 여행사는 36곳에 달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 개방 여행업 인허가데이터에서 집계했다. 사태가 진정되지 않는다면 다음 달 폐업 건수는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한국에 대한 여행경보를 최고 등급인 3단계로 격상하는 등 한국 관광에 대한 이미지 타격이 커서 코로나19 사태가 끝나더라도 국내 여행업계가 단기간 회복세를 보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진단도 제기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테슬라 주가 연초 수준 복구...이차전지 회복 신호탄 될까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체포영장 기각된 까닭
  • '나는 솔로' 이상의 도파민…영화 넘어 연프까지 진출한 '무당들'? [이슈크래커]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편의점 만족도 1위는 'GS25'…꼴찌는?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801,000
    • -3.36%
    • 이더리움
    • 4,523,000
    • -4.13%
    • 비트코인 캐시
    • 507,000
    • -4.16%
    • 리플
    • 645
    • -5.15%
    • 솔라나
    • 191,200
    • -6.87%
    • 에이다
    • 559
    • -4.12%
    • 이오스
    • 771
    • -5.51%
    • 트론
    • 182
    • +0%
    • 스텔라루멘
    • 125
    • -3.8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450
    • -7.84%
    • 체인링크
    • 18,690
    • -7.89%
    • 샌드박스
    • 428
    • -6.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