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시작한 베이비부머, 의식주부터 줄였다

입력 2020-02-24 12:00 수정 2020-02-24 13: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년간 소비성향 5.5%p 감소, 이중 50대 2.1%p 줄어..2인이상가구 1000원 벌어 569원 써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하기 시작하면서 의식주부터 줄였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영향에 이들이 은퇴를 본격화한 2012년 이후 국내 평균소비성향도 하락세가 고착화하는 모습이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24일 한국은행 조사총괄팀 김대용 차장 등이 발표한 ‘최근 소비성향 변동요인 분석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전국 2인이상 가구 평균소비성향은 2012년 62.6%에서 2019년 56.9%로 5.7%포인트 줄었다. 이는 자신의 소득에서 세금을 제외한 가처분소득이 1000원일 경우 이중 소비하는 규모가 626원에서 569원으로 줄었다는 의미다.

이를 인구변화에 따른 소득비중을 제외한 연령별 소비성향만으로 분석하면 같은기간 5.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는 61.6%에서 54.7%로, 60대이상은 62.7%에서 55.1%로 줄었다. 기여도측면에서 보면 50대는 2.1%포인트를, 60대이상은 1.6%포인트를 각각 떨어뜨렸다.

국민계정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소비 목적별 소비성향 변화를 보면 2012년 대비 2018년 민간소비지출은 5.0%포인트 줄었다. 이를 부문별 기여도로 보면 정부의 무상 교육 및 급식 등 정책에 하락한 교육서비스(-1.3%포인트)를 제외하면, 주로 의식주 항목인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1.1%포인트), 의류 및 신발(-1.0%포인트),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0.8%포인트) 등의 하락폭이 컸다.

김대용 차장은 “가구주 연령대, 소득분위 등 가구별 특성이 소비성향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항상소득가설을 적용해 해석한 결과 50대 이상 가구의 미래 기대소득 변동이 2012년 이후 전체 소비성향 변동을 비교적 잘 설명한다”며 “급속한 인구고령화 속에서 2012년 베이비부머 은퇴가 본격화하면서 50대 이상 가구의 미래소득에 대한 불안감이 소비성향 하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구고령화 등으로 2000년대 초중반 수준의 소비성향으로 복귀하긴 힘들 것”이라며 “향후 정책 추진시 미래 소득에 대한 급격한 기대 변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자산효과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변화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당신이 몰랐던 '미쉐린 별점'의 그늘(?) [이슈크래커]
  • 건설업계·부동산 전문가 75% "서울 아파트값 계속 오른다"…지방은 상승 "어려워"
  • 자사주 취득·소각 길 열린 고려아연…영풍 또 가처분 신청
  • 단독 예산 수십억 들였는데 참여 기업은 3곳뿐…'AI 신뢰 인증제'
  • 尹, 쌍특검법·지역화폐법 재의 요구...24번째 거부권[종합]
  • '흑백요리사' 최현석, 비장의 무기 꺼냈다…시청자들 뒤집힌 이유는?
  • “축구협회, 홍명보 감독 선임하며 내부규정 안 지켜”
  • 단독 교육부, 전국 의대에 "동맹휴학 안 된다" 공문…서울대 의대 휴학 승인 ‘논란’
  • 오늘의 상승종목

  • 10.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2,080,000
    • +0.69%
    • 이더리움
    • 3,216,000
    • -2.19%
    • 비트코인 캐시
    • 429,200
    • +0.77%
    • 리플
    • 773
    • -4.57%
    • 솔라나
    • 189,900
    • -2.37%
    • 에이다
    • 463
    • -2.11%
    • 이오스
    • 632
    • -2.62%
    • 트론
    • 209
    • +1.46%
    • 스텔라루멘
    • 125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0,650
    • -0.16%
    • 체인링크
    • 14,340
    • -2.91%
    • 샌드박스
    • 329
    • -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