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딜로이트 그룹, ‘딜로이트 생명과학포럼’ 개최

입력 2019-10-17 09: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약·바이오 업계 지속성장을 위한 글로벌 전망과 트렌드, 리스크 대응방안 제시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15일과 17일 양일에 걸쳐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딜로이트 생명과학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제공=딜로이트 안진)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15일과 17일 양일에 걸쳐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딜로이트 생명과학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제공=딜로이트 안진)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을 포함한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15일과 17일 2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딜로이트 생명과학포럼’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규제 리스크와 세무 및 관세 이슈가 늘어나고,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제약·바이오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 기획됐다.

첫 연사인 황지만 딜로이트 안진 생명과학팀 리더는 글로벌 제약·바이오 업계의 향후 전망과 트렌드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연 6%대로 글로벌 제약산업이 성장하지만 역행하는 연구개발비의 ROI 등 산업 환경을 주목해 최고경영진이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 유념해야 하는 거시 시장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이번 포럼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딜로이트 미국 매트 데이빗 생명과학 M&A 자문서비스 리더는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의 스타트업 투자 사례와 라이센싱 아웃, 위탁개발생산 동향에 대해 설명했다.

그 뒤를 이어 박종우ㆍ유정곤 딜로이트 안진 세무자문본부 파트너가 기업의 수익성과 직결된 세무·관세 이슈 최근 동향을 발표했다.

황지만 리더가 국내 규제 리스크의 사례와 사전 대응방안을, 김경훈 딜로이트 컨설팅 이사는 R&D 포트폴리오 관리와 임상예측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포럼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30여개사, 40여명의 최고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글로벌 사례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방법론과 사전 리스크 대응방안 등을 심도있는 분석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황지만 리더는 “이번 포럼은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자리”라며 “투자(M&A)ㆍR&Dㆍ규제 대응ㆍ세무 및 관세 이슈 등 전방위적 이슈에 대한 전략적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준비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앞으로도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타보니] “나랑 달 타고 한강 야경 보지 않을래?”…여의도 130m 상공 ‘서울달’ 뜬다
  • ‘토론 망친’ 바이든, 대선 후보 사퇴 결정 영부인에 달렸다
  • 허웅 '사생활 논란'에 광고서 사라져…동생 허훈만 남았다
  • 박철, 전 아내 옥소리 직격…"내 앞에만 나타나지 말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655,000
    • +1.09%
    • 이더리움
    • 4,773,000
    • +0.34%
    • 비트코인 캐시
    • 544,500
    • +1.59%
    • 리플
    • 665
    • -0.3%
    • 솔라나
    • 200,300
    • +0.7%
    • 에이다
    • 541
    • -1.28%
    • 이오스
    • 802
    • -0.5%
    • 트론
    • 0
    • -0.56%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0
    • +0.24%
    • 체인링크
    • 19,140
    • -0.31%
    • 샌드박스
    • 462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