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 특정 "과학수사 공조가 이뤄낸 성과"

입력 2019-09-19 15: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0년 DNA 데이터베이스법 시행…국과수, 검찰 수형인 DNA DB에 확인 요청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사건 발생 30여년 만에 경기 화성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를 수사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다른 범행으로 교도소에 수감 중인 50대"라고 말했다.(뉴시스)
▲경기남부지방경찰청은 사건 발생 30여년 만에 경기 화성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를 수사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다른 범행으로 교도소에 수감 중인 50대"라고 말했다.(뉴시스)
국내 최악의 미제사건인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가 33년 만에 특정된 것은 과학수사 기법 발달과 과학수사 공조가 이뤄낸 성과라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대검찰청 등에 따르면 경찰이 용의자 A(56) 씨를 특정할 수 있게 된 결정적인 배경 중에는 DNA 증폭 기술 발전과 범죄자 DNA 데이터베이스(DB) 제도가 꼽힌다.

대검은 2010년 7월 DNA신원확인정보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 살인ㆍ성폭력 등 재범 위험성이 높은 11개 범죄군의 형 확정자 DNA를 재취해 DB로 관리 중이다. 지난 8월 기준 16만9180명의 신원정보가 수록돼 있으며, 이를 토대로 2247건의 미제사건이 해결됐다.

경찰(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구속피의자와 범죄 현장 DNA를 보관 중이다. 대검과 검찰은 DNA 정보를 수시로 교환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화성연쇄살인사건 용의자 특정은 경찰이 보관하던 증거물에서 채취한 DNA가 대검이 관리하는 수형인 DNA DB에 저장된 신원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이뤄졌다. A 씨는 2012년 초 수형인 DNA DB에 신원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염색체 분석기술이 향상돼) 예전에는 극소량의 DNA로 파악할 수 없었으나 현재는 가능하다"며 "동일인이 아닐 확률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한편 경찰은 DNA 분석기법을 통해 A 씨가 10차례 가운데 5ㆍ7ㆍ9차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A 씨는 증거물에서 검출된 DNA와 자신의 DNA가 일치한다는 경찰의 추궁에도 혐의 일체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생일 축하해” 루이바오·후이바오의 판생 1년 [해시태그]
  • 축구협회, 국가대표팀 사령탑에 홍명보 감독 내정
  • [날씨] "출근길 우산 챙기세요" 수도권 천둥·번개 물폭탄…무더위는 계속
  • 맥북 던진 세종대왕?…‘AI 헛소리’ 잡는 이통3사
  • [기회의 땅 아! 프리카] 불꽃튀는 선점 전쟁…G2 이어 글로벌사우스도 참전
  • 국산 신약 37개…‘블록버스터’ 달성은 언제쯤? [목마른 K블록버스터]
  • “이마트 ‘노브랜드’ 발품 팔아 찾은 가성비...해외서도 통했죠”[단독 인터뷰]
  • ‘평생 트라우마’ 학교폭력, 더 심해지고 다양해졌다 [학교는, 지금 ①]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1: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78,880,000
    • -4.5%
    • 이더리움
    • 4,102,000
    • -5.64%
    • 비트코인 캐시
    • 438,600
    • -8.57%
    • 리플
    • 591
    • -6.78%
    • 솔라나
    • 186,000
    • -7.55%
    • 에이다
    • 487
    • -7.06%
    • 이오스
    • 690
    • -6.88%
    • 트론
    • 178
    • -4.3%
    • 스텔라루멘
    • 118
    • -8.5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120
    • -6.53%
    • 체인링크
    • 17,430
    • -6.24%
    • 샌드박스
    • 395
    • -8.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