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 네이버 GIO "5조 원 회사가 크다고 규제…글로벌 규모로 봐야"

입력 2019-06-18 20: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GIO가 서울 포시즌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디지털 G2시대, 우리의 선택과 미래 경쟁력’ 심포지엄에 참석해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GIO가 서울 포시즌스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디지털 G2시대, 우리의 선택과 미래 경쟁력’ 심포지엄에 참석해 대담을 진행하고 있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국내 대기업 지정, 규제 등에 대해 “5조 원, 10조 원 규모 회사가 크다고 부도덕한 기업으로 몰아 견제하고 규제하는 것이 나라에 도움이 되는가 의문이 든다”고 밝혔다.

이 GIO는 18일 서울 포시즌스호텔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디지털 G2시대, 우리의 선택과 미래 경쟁력’ 심포지엄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이 GIO는 “기업이 크다, 작다는 것은 반드시 글로벌 스케일로 놓고 봐야지, 우리나라만 따로 떨어뜨려 놓으면 잘못된 판단”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조 원을 연구개발에 쓰려면 규모의 경제가 돼야 한다”며 “우리는 옛날식 프레임으로 큰 회사가 나오면 규제를 하고 잡는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지난 2017년 자산 규모 5조 원을 넘어서며 공시대상기업집단(준대기업집단)으로 지정된 바 있다.

이 GIO는 “‘어떻게 기술이 뒤처지지 않고 이길까’ 고민만 해도 벅찬데, 사회적 책임을 묻고 탐욕적이고 돈만 아는 회사라고 하는 것은 책임이 과한 것 같다”고 짚었다. 이어 “그런 것은 정치나 사회에서 해결해주고, 기업은 연구개발과 트렌드를 쫓아가고 몰입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사회 국가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올해 네이버 창립 20주년을 맞은 이 GIO는 대중 앞에 나서지 않는 ‘은둔의 경영자’로 통한다. 하지만 이번 심포지엄은 인터넷 상용화 20주년은 기념하는 자리로 동일한 인터넷 시대 환경을 지내왔기 때문에 흔쾌히 초청을 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GIO가 강연 행사에 나선 것은 2014년 6월 제주도에서 열린 중소기업중앙회 리더스포럼 이후 5년 만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56년의 대장정…현대차 글로벌 누적생산 1억 대 돌파
  • '연봉 7000만 원' 벌어야 결혼 성공?…실제 근로자 연봉과 비교해보니 [그래픽 스토리]
  • 테슬라 주가 연초 수준 복구...이차전지 회복 신호탄 될까
  • 신작 성적 따라 등락 오가는 게임주…"하반기·내년 신작 모멘텀 주목"
  • '5000원' 백반집에 감동도 잠시…어김없이 소환된 광장시장 '바가지'? [이슈크래커]
  • '시청역 역주행' 사고 운전자 체포영장 기각된 까닭
  • '나는 솔로' 이상의 도파민…영화 넘어 연프까지 진출한 '무당들'? [이슈크래커]
  • 임영웅, 광고계도 휩쓸었네…이정재·변우석 꺾고 광고모델 브랜드평판 1위
  • 오늘의 상승종목

  • 07.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1,486,000
    • -4.61%
    • 이더리움
    • 4,483,000
    • -4.96%
    • 비트코인 캐시
    • 495,100
    • -6.58%
    • 리플
    • 640
    • -6.16%
    • 솔라나
    • 190,800
    • -8.05%
    • 에이다
    • 555
    • -5.29%
    • 이오스
    • 765
    • -6.59%
    • 트론
    • 182
    • -0.55%
    • 스텔라루멘
    • 126
    • -3.8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800
    • -9.19%
    • 체인링크
    • 18,590
    • -9.54%
    • 샌드박스
    • 424
    • -8.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