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항공여객 사상 첫 3000만 명 돌파

입력 2019-04-30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제선 LCC 분담률 32.2%까지 확대

(출처=대한항공)
(출처=대한항공)
올해 1분기 항공여객이 사상 처음으로 3000만 명을 돌파했다. 겨울방학 성수기와 설 연휴, 중국 노선 회복, 저비용항공사(LCC)의 약진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9년 1분기 항공운송시장 동향에 따르면 1분기 항공이용객은 전년동기대비 6.4% 증가한 3057만 명을 기록해 단일 분기별 실적으로 최초로 3000만 명을 돌파했다.

국제선 여객은 전년동기대비 7.1% 성장한 2301만 명으로 집계됐다. 겨울방학 및 설 연휴, LCC 공급석 확대, 노선 다변화,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국 노선은 414만 명을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14.4% 증가했고 중국이 단체관광을 중단하기 전인 2016년 1분기 440만 명에 근접했다. 무안(182.6%), 청주(166.9%), 제주(55.6%), 대구(49.4%) 등 지방공항도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항공사별로는 국적 대형항공사는 전년동기대비 1.5% 감소했으나 국적 LCC는 같은 기간 17.2% 급증했다. 이에 따른 LCC 분담률은 32.2%로 지난해 1분기 29.5%와 비교해 크게 늘었다.

▲2019년 1분기 항공운송시장 동향(출처=국토교통부)
▲2019년 1분기 항공운송시장 동향(출처=국토교통부)
국내선 여객은 외국인 제주여행이 늘면서 환승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한 756만 명을 기록했다. 공항별로는 울산(-8.6%)을 제외하고 전 공항이 증가했다. LCC는 440만 명을 운송하며 분담률이 58.2%에 달했다.

1분기 항공화물(104만 톤)은 글로벌 경기 둔화 움직임과 동남아를 제외한 일본‧중국‧유럽 등 전 지역의 물동량 감소(IT/반도체, 선박 등) 영향 등으로 3.4% 감소했다. 국제화물은 동남아(1.4%)를 제외하고 일본(-8.9%)‧중국(-5.3%)‧유럽(-5.2%) 등 전 지역에서 감소하며 전년동기대비 3.3% 줄어든 98만 톤을 기록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유가 상승에 따른 유류할증료 부담 등의 영향은 있으나 항공여객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항공노선 다변화 및 지방공항 활성화 등 항공운송산업의 지속성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김진경·김승규 결혼식…손흥민·김민재·황희찬 등 국가대표 총출동
  • 푸바오 신랑감 후보…옆집오빠 허허 vs 거지왕자 위안멍 [해시태그]
  • 단독 용역업체가 수익금 관리?…한국콘텐츠진흥원 '부외현금' 관행 적발
  • 게임 맛집 슈퍼셀의 야심작 '스쿼드 버스터즈'…"간단한데 맛있다"[mG픽]
  • 의료 파업, 국민 77.3%가 반대…"원인은 의사 기득권 지키기" [데이터클립]
  • 야수 전원 출전한 '최강야구'…대구고 2차전 콜드승 쾌거
  • 연돈볼카츠 점주들 "월 3000만 원 예상 매출 허위" vs 더본코리아 "사실과 달라"
  • 단독 “호봉제 폐지”…현대차, 연구·일반직 임금체계 개편 재추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049,000
    • -0.09%
    • 이더리움
    • 4,803,000
    • -2.87%
    • 비트코인 캐시
    • 538,000
    • -7.32%
    • 리플
    • 699
    • -0.85%
    • 솔라나
    • 192,900
    • -4.03%
    • 에이다
    • 528
    • -6.71%
    • 이오스
    • 780
    • -10.86%
    • 트론
    • 162
    • -1.22%
    • 스텔라루멘
    • 128
    • -6.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000
    • -8.41%
    • 체인링크
    • 19,100
    • -4.55%
    • 샌드박스
    • 440
    • -10.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