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석] 천 번을 흔들려야 회사원이다

입력 2017-05-22 10: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밌냐?” 회사에 들어와 대표님과 옥신각신 일하며 지내온 수년간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다.

‘일이 재밌을 리가 있나….’ 이건 답변드리지 못한 내 속마음이다.

여느 때처럼 웃음으로 던지시는 이 질문에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일생의 반 이상을 차지하게 될지도 모르는 ‘일’이라는 이 단어가 나에게 이토록 감흥이 없다니, 너무 가혹한 일이 아닌가.

업무 특성상 수많은 사람들과 직접 부딪혀 온 시간 속에서 덩달아 나까지 힘 빠지게 만드는(물론 지극히 주관적이었던 나의 기준에서) 이들을 꼽아 보자면, 자신의 일이 아무런 감흥 없는 일상이 되어 버린 사람들이었다. ‘보고의 보고를 위한 보고서’를 만들며 업무에 동기 부여 따위는 사라져 버린 것이다.

며칠 전 고향지기 친구도 술 한잔 기울이던 자리에서 푸념을 늘어놨다. “분명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고 있는 것 같은데, 재미가 없다. 직장을 옮겨야 하나.” 어쩌면 내 또래의 대부분이 이 주제라면 밤새 공감하며 토론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매번 늘어놓는 푸념 앞에서 달라지는 건 없었던 터라, 이번엔 좀 반대로 생각해 보기로 했다. 모든 게 새로운 도전이었던 신입사원 시절과 달리 ‘일이 다 그게 그거지’라는 생각으로 우리는 익숙해졌을 뿐이라고.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쌓이면 동맥경화를 일으키듯 반복된 무기력한 일상이 수동적인 생각과 마음가짐으로 내 삶을 불만족스럽게 만들고 위축시킨 거라고.

그래, 쇠도 두드리면 단단해진다고 했다. 과거 ‘직장의 신’이라는 드라마에서 다뤘던 ‘천 번을 흔들려야 회사원이 된다’ 편에서의 에피소드처럼 오늘도 여전한 우리의 흔들림 또한 하나의 에피소드로 익숙해질 것이다. 능동적인 용기로 해피엔딩의 드라마 같은 회사 생활을 꿈꾸던 그 시절, 그 눈빛을 가진 건 다름아닌 나였다. 따분함에, 단지 새로움을 찾아나서는 도전만을 꿈꾸며 살기보다 때론 한 번쯤 뒤돌아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익숙함’에 희미해져 가는 그 시절의 나를.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254,000
    • +2.84%
    • 이더리움
    • 4,834,000
    • +1.64%
    • 비트코인 캐시
    • 553,000
    • +3.08%
    • 리플
    • 669
    • +0.45%
    • 솔라나
    • 206,000
    • +4.25%
    • 에이다
    • 552
    • +1.85%
    • 이오스
    • 813
    • +2.14%
    • 트론
    • 176
    • +0%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500
    • +3.08%
    • 체인링크
    • 20,060
    • +5.47%
    • 샌드박스
    • 466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