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대한과학, 차세대 체성분 분석기 식약처 승인 완료… 출시 초읽기

입력 2016-02-18 11:08 수정 2016-02-19 10: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16-02-18 11:00)에 Money10을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종목 돋보기] 대한과학의 차세대 체성분 '인밸런스 300'에 대한 식약처 승인이 완료됐다. 이에 따라 조만간 정식 출시가 이뤄질 전망이다.

18일 대한과학 관계자는 "지난해 말 체성분 분석기 '인밸런스 300'이 식약처로부터 승인을 받았다"며 "현재 출시 직전 단계인 필드테스트 중인데, 큰 문제 없이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국내 출시를 시작으로 해외 수출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한과학은 지난해 초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제40회 두바이 국제의료기기 전시회(Arab Health 2015)'에서 신형 체성분 분석기 '인밸런스 300'을 최초 공개한 후, 제품 출시를 위한 준비를 해왔다.

차세대 체성분 분석기 인밸런스300은 6가지 주파수로 신체의 5곳에서 30여 임피던스를 측정해 체지방량과 근육량, 비만율 등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안드로이드 기반의 10.1인치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와이파이(WiFi) 프린팅 기능이 기본 탑재돼 있고,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블루투스 등 각종 편의사양이 추가됐다. 측정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PC나 스마트폰으로 전 세계 어디에서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체성분 분석기는 스포츠클럽, 대형병원, 한의원, 학교 등 다수의 인구가 활동하는 곳에서 시장 확대가 가능하다. 현재 국내 약 2만여 곳과 해외 6000여 곳에서 체성분 분석기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IT 기반의 U-헬스케어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ㆍ중국ㆍEUㆍ중남미의 체성분 분석기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경우 과체중(비만 및 잠재 비만) 인구 비중이 2012년 25%, 인구 수 약 3억3500만명에 달하는 등 관련 시장의 잠재력이 크다.

☞ 투자자 300명에게 공개하는 종목의 속살 이투데이 스탁프리미엄에서 확인하세요

http://www.etoday.co.kr/stockpremium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K 붙은 식음료·뷰티 ETF 모두 잘 나가는데…‘이 K’는 무슨 일?
  • 예금자보호한도 상향 논의 재점화…올해는 바뀌나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필카부터 네 컷까지…'디토 감성' 추구하는 '포토프레스 세대'[Z탐사대]
  • 하반기에도 IPO 대어 더 온다…공모주 기대감 여전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SK그룹, 2026년까지 80조 원 확보… AI·반도체 등 미래 투자
  • 오늘의 상승종목

  • 06.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199,000
    • +2.82%
    • 이더리움
    • 4,839,000
    • +1.81%
    • 비트코인 캐시
    • 555,000
    • +3.54%
    • 리플
    • 668
    • +0.45%
    • 솔라나
    • 205,900
    • +4.41%
    • 에이다
    • 550
    • +1.48%
    • 이오스
    • 812
    • +2.01%
    • 트론
    • 175
    • -1.13%
    • 스텔라루멘
    • 128
    • +0.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00
    • +3.09%
    • 체인링크
    • 20,110
    • +5.95%
    • 샌드박스
    • 466
    • +1.5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