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이제 ‘눈 뜬 꿈’을 꾸자

입력 2015-12-28 10: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정진홍 울산대 석좌교수·전 아산나눔재단 이사장

이 글은 28일 발행된 시니어 월간지 ‘브라보 마이 라이프’(이투데이 미래설계연구원 발행)의 2016년 1월호에 실린 정진홍<사진> 울산대 석좌교수의 특별기고문입니다. 새해를 맞는 시점에 삶의 지침으로 삼을 만한 글이어서 이투데이 독자들께도 일독을 권합니다.<편집자 주>

어렸을 때는 꿈을 먹고 자랐다. 젊어서는 그 꿈을 실현하려는 꿈을 꾸며 뛰었다. 장년에 이르러서는 꿈을 접을수록 현실적이게 된다는 꿈을 살아야 했다. 그리고 어느덧 노년이다.

만약 삶이 이렇듯 꿈으로 이어지는 것이라면 노년이라 해도 꿈이 가셔질 까닭이 없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꿈 접기가 꿈의 현실이 되는 장년기의 뒷자락에서부터 우리는 이미 노년의 삶은 꿈꾸기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것이라고 여긴다. 꿈과 무관한 삶이 곧 삶의 끝 날에 이르는 짧은 자락일 거라고 생각한다. 아니, 아예 꿈과 이어진 삶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노년은 그렇게 묘사된다.

그렇지 않다고 여기는 사람도 없지 않다. 노년이 되면 바야흐로 진정한 꿈을 꾸어야 하는 시절이라고 애써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노년 이전의 꿈은 그것이 아무리 영롱하고 찬란했다 해도, 그리고 그 꿈을 마침내 그렇게 이루었다 해도, 지금 노년의 자리에서 보면 한갓 물거품 같은 것이라고 말하면서 그런 분들은 노년이 되어 지니게 되는 새 꿈이야말로 지금 여기를 벗어난 영원한 것에 대한 기대로 가득 찬 것이어서 결코 허망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한다. 무한, 영원, 초월, 자연, 처음에의 회귀라는 개념들이 그러한 주장 속에서 넘실댄다.

우리는 이러한 주장에 솔깃하다. 노년이 되면 끝이 보여 초조해지는 것도 사실이지만 바로 그런 까닭에 서둘러 초연해지고 싶은 희구도 일기 때문이다. 그래서 굳이 노년의 꿈을 일컫는다면 그것은 온갖 것에서 놓이고 풀려 지금 여기를 지우는 가볍고 자유로운 비상(飛翔)이라고 말한다. 죽음이 밀착된 노년에서 이러한 초연함을 꿈꾸는 것은 성숙한 모습으로 일컬어지고, 쉽게 지닐 수 없는 삶의 모습으로 기려진다.

그러나 바야흐로 죽음을 의식하면서 이러한 태도를 지니는 삶이란 오직 노년에게 한한 것은 아니다. 노년에 이르렀다는 것이 죽음에 바짝 다가간 징표인 것은 분명하지만 죽음이란 비단 노년의 전유물은 아니다. 죽음은 무릇 생명이 품고 있는 것이어서 삶이 있는 곳이면 바로 거기에 언제나 함께 있다.

그렇다면 노년에 이르러 죽음을 맞기 위해 모든 것을 내려놓으면서 꿈마저 버리고 삶에서 벗어나기를 희구하는 것은 삶을 고이 다듬는 것과는 사뭇 다르다. 그것은 삶을 지레 버리는 것과 다르지 않다. 죽음에 대한 생각이나 태도는 벌써 젊었을 때나 장년의 시기에 이미 다듬고 있어야 그것이 성숙이지 늙어 죽음의 낌새를 보고 쫓기듯 서둘러 짓는 죽음 이해나 죽음 맞이의 태도는 오히려 일그러진 체념일 수도 있다. 짐짓 자유로움과 초연함으로 그것을 치장한다 해도 그런 잿빛 그늘이 온전히 가려지지는 않는다.

그렇다면 노년에 이르러서도 꿈을 꾸며 살아야 한다. 현실에서 발을 떼지 않는 그런 꿈, 그러니까 지금 여기의 내 삶이 온전해지도록 무엇을 하고 싶다든지, 해야 하겠다든지 하는 희구를 지녀야 하고 이를 위한 삶을 구체적으로 살아야 한다.

물론 갑작스러운 ‘길어진 수명’ 탓에 언제부터가 ‘노년’인지를 가늠하는 일이 어려워졌다. 그러니 다 끝났다고 꿈을 접은 때도 확연하지 않고, 이제까지와는 다른 꿈을 펼쳐야겠다고 다짐하는 때도 너나없이 같지 않다. 마음이나 몸 형편에 더해 건강이나 재물, 그리고 하고 살아온 일 따라 노년은 다르게 드러난다. 그러니 이를 금 긋듯 잘라 말한다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이제까지와는 다른 노년의 꿈을 스스로 지니고 이를 실현하려는 삶을 사는 일은 뜻밖에 쉽고 간단한다. 나 스스로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하는 그때가 바로 그 꿈을 펼치기 가장 적절한 때이고, 그때 지니는 그 꿈의 내용이 곧 자기가 꿈꾸는 그것이기 때문이다.

▲서양화가 권옥연(1923~2011) 작 ‘꿈’(1960). 캔버스에 유채. 73×1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서양화가 권옥연(1923~2011) 작 ‘꿈’(1960). 캔버스에 유채. 73×10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꿈은 다른 것이 아니다. 하고 싶은 것, 그것이 꿈이다. 그렇다면 노년의 꿈은 분명하다. 이제까지 힘들게 살아오느라 하고 싶은 것을 못한 것, 그것을 하고 싶다고 마음먹는 일이 꿈이고 그것을 하는 것이 꿈의 실현이다. 그것이 노년의 특권이고 자유이다. 젊음도 장년도 그리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나 노년은 실은 거칠 것이 없다. 생각만 해도 가슴이 뛴다. ‘못 가본 길이 아름답다’던데 그 아름다움을 좇아 남은 내 삶이 펼쳐지리라는 생각만 해도 이미 나는 꿈의 실현을 앞당겨 사는 것 같은 희열에 들뜬다. 그러니 망설일 필요가 없다. 머뭇거림처럼 못난 삶은 없다. 이미 충분히 그렇다는 것을 아는데 주저할 것 없이 지금 여기에서 그 꿈을 누리고 실현하기 위해 움직여야 한다. 틀림없이 행복할 거다. 그것은 우리가 누릴 수 있는 마지막 축복일 거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함부로 이 자유를 누리려 한다면 자칫 그 모습은 추하게 일그러진 삶으로 읽힐지도 모른다. 꿈은 욕심이 아니다. 꿈은 환상이 아니다. 꿈은 욕망의 투사도 아니다. 그것은 삶을 삶답게 다스리는 영롱한 얼이 내는 길을 좇는 일이고, 그러한 삶의 실현을 기하는 일이다. 노년 이전의 삶에서 우리는 이를 혼동하여 얼마나 헛길로 들어서서 헤맸는지 모른다. 그런데 이 끝자락에서 이 잘못을 되풀이할 수는 없다. 노욕(老慾)과 거기에서 말미암는 노추(老醜)는 그러잖아도 오래 일컬어진 노년의 또 다른 모습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꿈을 꾸되 ‘눈 뜬 꿈’을 꿀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노년이 갖는 꿈의 특성이다. 눈 감고 질주하는 ‘맹목(盲目)’의 꿈은 때로 노년 이전에는 불가피한 과오로 여겨 용서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노년의 꿈이 그러하면 그것은 돌이킬 수 있는 여유가 없다. 그러므로 노년은 꿈을 키우되 마음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 자신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세상에 대한 상황적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그 꿈은 ‘눈 뜬 꿈’이어야 한다.

세월이 넉넉하지 않다. 그런데 하지 못한 것을 하고 싶은, 한 것을 더 온전하게 하고 싶은, 간절함이 새 꿈을 부추긴다. 행복한 충동이고 감사한 기회이다. 과감하게 착수하면 된다.

그러나 그것이 자칫 노욕과 노추로 묘사될 수도 있으리라는 판단이 들면 지체 없이 내 꿈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 그 다스림은 다른 것이 아니다. 젊은이이고 장년인 든든한 후배들의 성취 속에서 내 꿈의 실현을 새삼 확인하는 일이다. 내가 못내 하고 싶던 것을 기막히게 성취하고 있는 그들을 경탄의 눈으로 바라보면서 진심으로 부러워하고, 그들의 성취에 내가 깃들 수 있는 행운을 지녔다는 사실에 더없이 감사할 수 있다면, 그래서 그들을 무한히 신뢰하면서 내 노년을 보낼 수 있다면, 이보다 더 나은 노년의 꿈의 실현이 따로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서도 노년은 꿈을 가져야 한다. 꿈이 없다면 이 감격을 겪을 수 없을 거니까.

꿈을 꾸지 않는 노년은 가난하다. 그리고 가난은 서럽고 시리다. 그런데 노년을 그렇게 살게 하지 않을 사람은 노년을 사는 나 말고는 아무도 없다.

◆정진홍 교수는

1937년 충남 공주 출생. 서울대 종교학과 졸. 서울대대학원 석사, 미국 유나이티드 신학대학원 석사, 샌프란시스코 신학대학원 박사. 명지대 교수, 서울대 교수, 아산나눔재단 이사장 등 역임. 현재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이사장.

저서: ‘종교학 서설’, ‘만남, 죽음과의 만남’, 시집 ‘마당에는 때로 은빛 꽃이 핀다’ 등 다수.

◆그의 저서에서 추린 문장

#젊음은 분별을 배우는 계절입니다. 장년은 그렇게 얻은 앎과 판단에 근거하여 삶을 다스리고 보람을 낳는 계절입니다. 그렇다면 노년은 그 분별에 의거한 앎과 그를 준거로 낳고 쌓은 보람을 누리는 계절일지도 모릅니다.

#삶다운 삶이란 삶의 한복판뿐만 아니라 삶의 구석구석마다 의미를 채우는 삶, 그래서 그 삶의 정황이 어떠하든 그 구석들이 모두 보람을 빚는 샘물이 되게 하는 삶, 그리하여 그 샘에서 흐르는 맑은 물이 뭇 생명의 목마름을 풀어주면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게 하는 삶, 스스로 그러한 삶을 살기 위하여 ‘죽음도 마다하지 않는’ 노력을 하고, 그래서 뭇 사람들과 서로 이어진 삶의 울 속에서 그 사람들에게 덕을 베풀 수 있는 삶, 그러한 것입니다.

#죽음도 죽음다워야 합니다. 죽음의 한복판뿐만 아니라 죽음의 구석구석마다 의미를 채우는 죽음, 그래서 그 죽음의 정황이 어떠하든 그 구석들이 모두 보람을 빚는 샘물이 되게 하는 죽음, 그리하여 그 샘에서 흐르는 맑은 물이 뭇 죽음의 목마름을 풀어주면서 새로운 죽음을 잉태하게 하는 죽음, 스스로 그러한 죽음을 죽기 위하여 ‘삶도 마다하지 않는’ 노력을 하고, 그래서 뭇사람들과 서로 이어진 죽음의 울 속에서 그 사람들에게 덕을 베풀 수 있는 죽음, 그러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죽기 전에’ 아직 살아 있을 때 지금 여기에서 옳고 바르게 살아야 합니다. 지금 여기에서 미워하지 말아야 하고, 지금 여기에서 서로 용서하고 서로 이해해야 합니다. 지금 여기에서 맡은 일과 해야 할 일을 해야 합니다. 지금 여기 말고는 사랑할 수 있는 기회도 없습니다.

#삶을 초조해하지 않는 사람은 죽음을 초조해하지 않습니다. 삶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삶을 감사하는 사람은 죽음을 감사합니다. 그리고 삶을 사랑하는 사람은 죽음을 사랑합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명 중 8명 "하반기 경영여건 어렵다"…관치보다 '정치금융' 더 압박[금융사 CEO 설문조사]
  • 예약 밀리고 안 되고…국민 10명 중 3명, 의료공백 불편경험 [데이터클립]
  • “이젠 싼 맛 말고 제맛”…K브랜드로 中독 벗어난다
  • "청약 기회 2년 날렸다"…공사비 급등에 또 취소된 사전청약 사업
  • [뉴욕인사이트] 고용 지표에 쏠리는 눈…하반기 황소장 이어가나
  • “잠재력만 봅니다” 부실 상장·관리 여전...파두·시큐레터 투자자 ‘피눈물’ [기술특례상장 명과 암②]
  • 유사투자자문업, 정보·운영 제각각…8월 자본법 개정안 시행에 당국 부담도 ↑ [유사투자자문업 관리실태]②
  • 박민영이 터뜨리고, 변우석이 끝냈다…올해 상반기 뒤흔든 드라마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8,140,000
    • +1.7%
    • 이더리움
    • 4,876,000
    • +2.07%
    • 비트코인 캐시
    • 545,500
    • -0.55%
    • 리플
    • 675
    • +1.35%
    • 솔라나
    • 206,600
    • +3.66%
    • 에이다
    • 562
    • +3.69%
    • 이오스
    • 813
    • +1.25%
    • 트론
    • 181
    • +2.26%
    • 스텔라루멘
    • 129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350
    • -0.87%
    • 체인링크
    • 20,140
    • +4.95%
    • 샌드박스
    • 464
    • +0.65%
* 24시간 변동률 기준